로딩중...
로딩중...
문학과 사람들
글쓰기 (Alt+w) 글붙여넣기(Ctrl+v) ^^!
오늘의 최근글 , 최근코멘트 RSS
로그인 | 회원가입 | 둘러보기
08월 20 (수) | 배경음악             
  • 문학방
  • |
  • 창작방
  • |
  • 작가방
  • |
  • 커뮤니티
  • |
  • 마이페이지
 낙서장 ·방명록 ·대화방 ·접속자
커버스토리 ·
문.사 살짝 리뉴얼 했습니다. [6]
문.사 살짝 리뉴얼 했습니다. 6
- 문학방 -
아름다운시
소설
수필
동화
좋은책
독후감
작품공모
상담/Q&A
재미로 보는 타로점
최신글보기
태그구름
오늘출석부
현재접속자
 
> 문학방 ( 문학방 > 비평/감상 )
·  문학방에 관련된 비평과 감상 ㅡㅡ;
국어살리기

     날짜 : 2003년 06월 23일 (월) 8:25:58 오후     조회 : 6582      
어디를 가나 문학을 좋아한다고 말할 수 있게 된지가
알게 모르게 지나가서, 이제는 올해 달력을 반이나 넘겨가고 있다.
미처 자라지도 못한 작은 마음으로 써나가는 글이
잘 쓰는 것도 아니고, 칭찬받을 만한 글들도 없지만,
순수한 애착으로 계속 써나가고 있다.
그러던 중에 언젠가 내 머리를 복잡하게 만드는 일이 생겼다.
...그런 것일까?
내가 문학에 관심을 두고, 일상에서 그것을 좋아하는 동안
문학에 관심이 없는 어른들이나 아이들의 반응은
필요가 없다느니, 쓸데없다느니 그런 식이었다.
이런 말들에서 나는 굳이 우리나라라고 단정지을순 없지만,
우리가 사는 이 시대는 너무나 실리만 추구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두서없는 이 말에다 주석을 달자면
우리 사회가 추구하는건 내가 보기엔 '돈'이다.
우리는 한 해에 배출되는 그 수많은 대학졸업생들을 감당할 만한
많은 회사를 가지진 못하였고, 여러번의 경제위기 가운데에서도
무분별하게 늘어나버린 대학교가 이유라고 생각된다.
간단히 말해서 高학력자가 너무나도 많다는 점이다.
고학력자.. 이것은 사회인의 잣대를 학업으로 점점 더 몰아가며
입시문화의 가속을 주도했고, 입시문화속의 세계화라는 이름 앞에서
우리가 부르짖은 영어는 국어의 한보 진퇴를 가져왔다.
하지만 우리가 간과하지 말아야 할 사실이 국어의 중요함이다.
영어는 살아가면서 필요할 사람들이 배우는 것이 옳은 일이다.
하지만 우리는 교양에 그치지 않는 영어를 배우고 있고,
영어나 다른 언어를 배우는데에 많은 시간을 투자한다.
그러나 모두가 영어나 타 국어를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은
애초에 시작된 영어물결이 그 원인이며, 분명 그 도가 지나친 일이다.
영어를 배운 사람들은 자신이 배운 영어로 그들의 가게나 회사의 이름을
모조리 영어로 사용하고 있고, 생활용품역시도 영어가 없는 것은 없다.
국제경쟁력에서 영어는 필수적이다.
아직 우리의 힘이 세계인들이 한글을 배우고 사용하게 할 수는 없으므로
영어는 우리에게도 필요하지만, 국어를 버려두고 다른 나라에서 물 건너온
서양의 언어를 모두가 배워야 한다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본다.
영어로 주눅 늘어선 거리가 없었다면, 우리가 영어를 사용할 일은 얼마나 될까?
일본을 따라서 영어를 제2국어로 지정하자는 의견도 있다.
이것은 우리의 것을 새로운 것의 밑에다 두고선 새로운 것을 빌리자는 말이다.
잘못된 것은 정부의 정책때문이라지만,
우리의 국어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영어사용의 적절한 절제가 이루어진다면
국어를 다시 살릴 수 있지 않을까?
일제시대때 이루어진 전통의 망각과 급속한 경제발전의 산물로 남은
서구의 보편화된 문화속에서, 우리에게 살아있는 유일한 정신은 '한글'이다.
전통문화의 보존을 부르짖는 소리와 영어물결이 들이닥치는 이 사회속에서,
우리의 국어를 살리는 일은 다른 어떤 일보다도 중요할 것이다.
우리의 자랑, 가장 아름다운 언어.
국어에 관심을 두고 문학을 즐기는 일이야말로
이 시대에 우리에게 남겨진 숙제를 해결할 열쇠가 될수있지 않을까?

만일..

내가 가진 꿈들을 내 이름 앞에 행복하게 지울 수 있다면

살아갈 나는 언제나 새롭기 때문에 그 끝이 무엇이든, 이길 것이다

여름의 끝에서. by 가을바람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06.24
우와... 겁나게 긴글을 많이 많이 부담... 아니 소감깊게 보았어요...-ㅁllllll 미안해 친한척 너무 많이 했구나. 우리나라 학생들의 영어는 수준급이라고들해 완전 옥스퍼드 식 영어를 구사하는 학생도 적잖다고 해. 그러나 우리나라 학생들 글쓰라고 하는 수행과제도 못해 쩔쩔맨다지... 억장이 무너지는 기분이었단다. 그래 네 말이 많이 맞는것 같다. ^ㅡ^ 그치만 나는 인터넷이라는 이름도 믿는 편이거든.<내가 좀 순진해^ㅡ^움하하> 우리 인터넷으로 이렇게 만난이상 인터넷은 우리나라 청소년의 문화성적도 향상시켜주지않을까^^ 우리 점점 변해가는 우리 학생들의 모습을 조금만 그렇게 기다려주자^^

06.24
이야 ^^; 댓글이 더 성의있어 보인다. 인터넷, 그걸 잘 이용해야겠지. 어디에나 영향을 줄 만한 보급수준과 기술력이 있으니께... 어쩌면 인터넷으로도 해결할 수 있어보이는군.ㅋ 우리도 학생인걸 뭐, 우리는 잘 하고 있잖냐 ㅋㅋ;

08.23
모든 말에 공감을 느낍니다..우리나라 요즘..중,고등학생을 보았을때..어휘구사력등..어휘활용력등이 많이 부족한 현실이더군요.. 중학생들을 볼 때..우리말에 전혀 관심도가 없더군요...어른들의 영어..영어...영어로 시달리는 우리나라 아이들.... 점점 쇄퇴해가는 국어라는 존재...영어도 어면히 국어가 뒷바침되어야지 할 수 있는데...참 아탑깝습니다.. 요즘 고학력자라고 자부하는 서울대생들...과연 국어를 잘하는 사람은 몇이나 있을까요??.. 서울대생 어문학 계열 학생들에게 국어 기본어휘력을 시험해봤더니..100점 만점중에 평균 27.5 작년 55.7정도 보다 많이 떨어진 상태라고 하더군요...참 가슴이 아픕니다.. 우리말을 사랑하고 우리말을 아끼는 마음을 바탕으로 외국어를 가리쳤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어정쩡한 댓글이였네요...^^
안덕인
06.23
저는 초등학교 2학년부터 영어를 시작했습니다. 영어로 된 책, 왠지 질리더군요. 아마도 제 마음에 닿지 않는 것 같습니다. 국어로 된 소설, 수필, 시들이 저에겐 훨씬 좋았습니다. 전 성적도 국어가 영어보다 더 좋아요. 당연히 그래야 겠지만... 좀 쓸데없는 말을 한마디 했군요. 죄송하구요. 토박이 국어를 사용하는 것. 북한이 부러운 유일한 점입니다.

전체 : 78건
오. 대한민국 18년전 5,138
百人 百色, 百人 同色의 독도 사랑 19년전 5,733
네티즌 혹은 개티즌 [2] 19년전 7,170
젊은별 2005 신춘문예에 대하여 [3] 20년전 8,746
귀여니 소설? [21] 21년전 10,328
노조의 오늘과 내일. [1] 21년전 6,538
정치하는 아저씨들이 싫어진다 [1] 21년전 6,626
미스터장 자극적인 것에 대하여 [3] 21년전 7,415
 국어살리기 [4] 22년전 6,583
네티즌들이 가수'문희준'을 싫어하는 이유가 … [19] 22년전 6,848
   [참고자료] 문희준 망언 모음. [13] 22년전 8,353
   여성주의 저널 "일다"에 실린 글 21년전 6,238
그린파파 환상문학..낯설은 공간 설정에 어떤 공통적인… [3] 22년전 5,962
보이는 것이 진실일까? [2] 22년전 5,969
글을 읽는 사람들.. [3] 22년전 6,022
여러분은 통일을 원하십니까? [4] 22년전 5,844
기도 궁굼한게 있어서요^^ [1] 22년전 5,851
공부는 해야할까요? [6] 22년전 6,139
넘쳐흐른… 홀로 침묵할 지어다. [2] 22년전 5,898
애국청년 [1] 22년전 5,820
우리 반미하자 [9] 22년전 6,027
[호소] 나는 스펨 메일이 싫어요!! [3] 22년전 6,608
오하이오 와인즈 버그 중....The strength of GOD [1] 22년전 6,779
별로,,비평할만한 것은 아니지만 [6] 22년전 6,213
책과함께 우리의 진정한 역사 알고 싶어... [5] 22년전 5,878
   한단고기라. [1] 22년전 6,166
123  last
 
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포인트정책    
문.사 태어난 날 : 1999.09.01, 문.사 태어난 후 : 9486日 지남, 문.사 태어난 후 : 26주년
Copyleft (c) 문학과 사람들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