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로딩중...
문학과 사람들
글쓰기 (Alt+w) 글붙여넣기(Ctrl+v) ^^!
오늘의 최근글 , 최근코멘트 RSS
로그인 | 회원가입 | 둘러보기
05월 12 (월) | 배경음악             
  • 문학방
  • |
  • 창작방
  • |
  • 작가방
  • |
  • 커뮤니티
  • |
  • 마이페이지
 낙서장 ·방명록 ·대화방 ·접속자
커버스토리 ·
문.사 살짝 리뉴얼 했습니다. [6]
문.사 살짝 리뉴얼 했습니다. 6
- 창작방 -
창작시
창작글
창작동화
공개일기
학술방
상담/Q&A
재미로 보는 타로점
최신글보기
태그구름
오늘출석부
현재접속자
 
> 창작방 ( 창작방 > 공개일기 )
·  공개 일기장입니다. 매일 매일 일기를 적어보세요
'살아간다'는 '죽어간다'란 뜻? (VI & VII)

     날짜 : 2012년 05월 16일 (수) 0:45:42 오전     조회 : 2695      

‘살아간다’는 ‘죽어간다’란 뜻?

- 70대 꼰대의 숨쉬는 소리 (VI) -

# ‘남 죽음’ 보고 ‘내 죽음’ 안다-

모든 생명체의 끝 (종말)은 죽음이다.

사람은 죽는다. 너도 나도 언젠간 죽는다.

그런데 우리는 내가 죽는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남의 죽음을 봄(목격)으로써다.

가상해서, 갓난 아기 때부터 죽음이라는 말과 글을 일절 들려주지 않고

쓰지도 못하게 하고, 사람이 죽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다면?

아마도 그에겐 죽음이라는 개념이 없고, 그 자신이 죽는다는 것을

모르고 살아 갈지도 모른다.

우리는 사람이 죽은 후에 모두 한 줌의 재나 흙이 되는 것을 본다.

“나도 저렇게 될 것인가?” 너무나 허무하다. 허망하다.

“아니, 나는 저렇게 될 수가 없어!” 반발한다.

여기서 종교가 구원의 손길을 뻗친다. 영육 이원(二元)론,
영혼 불멸설, 천당/지옥설, 생명 윤회설…

그러나 그 것은 각자 신앙의 영역, 그러한 믿음이 없는 사람은?

불가지론자 (不可知論者), 회의론자 (懷疑論者)가 될 수 밖에 없다.

<2012/05/10>

 

[Quote 6-1] “ 우리는 죽음을 개의 (介意)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우리가 존재하는 한 죽음은 없다. 죽음이 왔을 때는
우리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Death does not concern us. Because as long as we exist, death is not here.
 And it does come, we no longer exist).

-에피큐러스 (Epicurus) / 그리스 철학자

[Quote 6-2] “나는 내가 곧 죽는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안다.
하지만, 내가 결코 피할 수 없는 그 죽음이란 것에 대해서는
어느 무엇 하나 아는 것이 없다”

-파스칼 (Blaise Pascal) /


‘살아간다’는 ‘죽어간다’란 뜻?

- 70대 꼰대의 숨쉬는 소리 (VII) -

# 덕불고 ( 德不孤) 라는데…

덕불고, 덕이 많으면 외롭지 않다는 뜻이다.

장례식에 갔다 올 때마다 집 사람이 한마디 한다.

“친구도 별로 없고, 교회도 안 나가고…당신 장례식엔

아마 조문객이 열 사람도 안 올꺼예요.”

등골이 써늘해 진다. 외로움이 뼈에 사무친다.

사람은 죽어서 평가를 받는다는데…장례식에 어떤 사람들이

얼마나 오느냐가 그 평가의 현실적인 기준일 수도 있는데…

열 명도 안 된다고…

죽은 후 평가?

살았을 때 덕을 얼마나 쌓았는냐에 달렸을거다.

덕이란 무엇인가?

선행 (善行), 적선 (積善)으로 쌓인 공덕 (功德) …

나는 덕을 얼마나 쌓았나? 아무리 생각해 봐도 ‘별로’다.

쌓은 덕이 없으니 자승자박, 불교에서 말하는 업보 (業報),

조문객이 열 명도 안 되도 뭐 할 수 없지 않은가.

죽은 사람이 뭘 알 것인가?
                                                                      <2012/05/12>

[Quote 7-1] “선행을 쌓더라도 명성을 얻을 정도로는 하지 말라.”

-장자 (莊子)

[Quote 7-2] "우리들의 죽음 앞에서 장의사 마저도

우리의 죽음을 슬퍼해 줄 만큼 훌륭한 삶이 되도록 힘써라.”

-마크 트웨인 (Mark Twain) / 미국 소설가


<a href="https://twitter.com/dong36" class="twitter-follow

http://kr.blog.yahoo.com/dongman1936

http://twtkr.com/dong36

저서: 1) "하늘이여 조국이여" (1988 간행)

2) “ 아, 멋진 새 한국 “ (e-Book)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전체 : 13,978건  
큰샘 민주주의의 꽃. 12년전 2,456
망자 (亡者) 앞에서... 12년전 3,602
보고 싶은데 [1] 12년전 3,411
7년전 일기장을 보다가 12년전 2,611
피임약 설명서때문에 오해 받을가봐 [1] 12년전 3,934
반가운 일이란 걸 ... 12년전 2,659
70대 부부 "그만 같이 가자!" [1] 12년전 4,662
작년 이맘때. . 12년전 2,663
그래도 해피엔딩 12년전 2,659
그 자리 지키고 있다는 것은 [1] 12년전 3,626
큰샘 경계. 12년전 2,676
문사는 "좀 우울하다"? [1] 12년전 3,614
힘들다 [1] 12년전 3,597
오늘의 모든 것 12년전 2,488
獨居노인 / 孤獨死 / 無緣死 12년전 3,543
큰샘 면접장에서. [1] 12년전 3,982
태풍이더냐?~ 12년전 2,466
지금 뭐하나? 12년전 2,595
수명100세-長壽의 패러독스 12년전 3,539
70대 꼰대 숨쉬는 소리 (XVI~XVII) 12년전 3,259
고등학생 12년전 2,347
갑자기,설마! 12년전 2,581
다, 운명이다 (XIV~XV) 12년전 2,735
1 12년전 2,648
슬픔 [1] 12년전 3,792
전화 줘! [2] 12년전 3,888
first123456789  다음  last
 
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포인트정책    
문.사 태어난 날 : 1999.09.01, 문.사 태어난 후 : 9386日 지남, 문.사 태어난 후 : 26주년
Copyleft (c) 문학과 사람들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