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로딩중...
문학과 사람들
글쓰기 (Alt+w) 글붙여넣기(Ctrl+v) ^^!
오늘의 최근글 , 최근코멘트 RSS
로그인 | 회원가입 | 둘러보기
07월 04 (금) | 배경음악             
  • 문학방
  • |
  • 창작방
  • |
  • 작가방
  • |
  • 커뮤니티
  • |
  • 마이페이지
 낙서장 ·방명록 ·대화방 ·접속자
커버스토리 ·
문.사 살짝 리뉴얼 했습니다. [6]
문.사 살짝 리뉴얼 했습니다. 6
- 문학방 -
아름다운시
소설
수필
동화
좋은책
독후감
작품공모
상담/Q&A
재미로 보는 타로점
최신글보기
태그구름
오늘출석부
현재접속자
 
> 문학방 ( 문학방 > 독후감 )
·  느끼고 느낀 감정을 ...
오강남교수의 [예수는 없다]을 읽고...

     날짜 : 2003년 06월 25일 (수) 7:56:09 오후     조회 : 2942      
책장 하나 하나를 넘기면서 공감, 의혹, 반감의 고개를 함께 넘어가는
독서체험을 했습니다.
우선 `예수는 없다`는 제목의 의미를 쫓아 읽었습니다.
과연 `예수는 없다`란 의미는 무엇일까? 저자가 비기독교인이라면 충분히
이해가 가는 명제였습니다. 하지만 저자도 독실한 기독교인이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책 내용에도 예수를 부정하는 글은 없습니다. 오히려 그는
올바른 예수의 믿음에 대해 역설(力說)고 있습니다.
어느 인터넷에서 받은 글을 보니 이 명제에 대해 `말과 말귀`에 관한 상위, 역설(逆說)의
개념으로 설명하더군요. 그 예로 불교의 화두(話頭)를 들 수 있습니다.
선방에서는 선사의 '아니다'를 '이다'로 그 말귀를 알아들을 때까지 가르친답니다.
그래서 화두 가운데는 "너가 길을 가다가 붓다를 만나면 그를 죽여 버려라"는 것이
있기도 합니다. 부정을 통한 강한 긍정으로의 회귀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좋은 예라
볼 수 있습니다. 책의 제목도 `말과 말귀`의 역설의 맥락에서 본다면 무리가 없을 듯합니다.
따라서 `예수는 없다`라는 말은 `있다`의 차원 높은 표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저자의 `말귀`에는 관심이 없는 듯 합니다.
그저 기독교인은 저자가 기독교에 흠집(?) 낸 것만을 되씹으며 분노하고, 비기독교인은
저자가 기독교의 모순(?)을 통렬히 비판하는 것에 대해 쾌재의 웃음을 흘립니다.
안타까울 뿐입니다.
비록 저자가 책에서 기독교의 동정녀에 관한 다른 이해(희랍어 번역판에는 파르테노스
(parthenos)라고 하여 ‘처녀’로 되어 있지만, 히브리어 원문에 나오는 히브리어 단어는
‘알마’(almah)였다. 알마는 개역판이나 표준새번역의 난외주에 나온 것처럼 그저 ‘젊은
여자`‘젊은 여인’이란 뜻이지 결혼도 안한 처녀라는 뜻이 아니었다. 마태복음 기자는
희랍어 번역에만 의존하여 처녀가 아이를 낳은 것으로 했다.)와 예수의 신성마저 부인하는
여러 예가 나옵니다만, 그것은 성경을 문자 그대로 믿는 것에 대한 경계 차원에서 말한 것
으로 믿어도 좋고 믿지 않아도 좋을 저자의 본 그림의 배경에 불과한 것입니다.
다만 저자가 의도하는 것은 `의식의 전환`입니다. 우리의 믿음이 우리의 실존적인 삶과 직결
되기 위해 기독교 신앙의 내용을 시대에 따라 계속 의미 있는 것으로 재해석해 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의식의 전환`이라고 해서 굳이 상하가 뒤바뀔 만큼의 전환은 아니라고 봅니다.
각각의 개인차가 있으니까요. 하지만 어느 누구나 기존의 기독교관에 대해 의식의 전환을
공감할 것입니다.
공허한 기독교 교리로만 남는 하나님의 말씀이 아닌 우리의 구체적이고 실존적인 삶에
적용 가능한 말씀으로 이 시대를 이끌어 가는 기독교가 되기 위해서는 의식의 전환은
선택이 아니라 필요입니다.
그러므로 저자의 기독교의 다원적 종교론을 떠나,
저자의 `의식의 전환`이란 측면에서 책을 숙고할 가치가 있다고 봅니다.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전체 : 460건
독후감 쓰는 요령 23년전 31,554
개성 '인생을 두배로 사는 아침형 인간'을 읽고 21년전 6,935
태엽감는 새 21년전 5,219
-김동인-배따라기 21년전 6,059
세월의 돌을 읽고... 21년전 6,483
TV 동화 행복한 세상 - 돈 21년전 4,843
톨스토이 단편선-돌 21년전 5,669
누가 내 치즈를 올겼을까? 21년전 6,244
잘생긴넘 삼국지를 읽고나서~~ 21년전 5,325
별이될꺼… [나무]그 대단한 상상력을 느끼고... 21년전 4,929
뇌... 21년전 4,786
다윈 21년전 3,226
[아홉살 인생] 21년전 6,230
히어로 폰 브라운(독일 사람)처음이니잘봐주셈 21년전 2,622
- 아낌 없이 주는 나무 - 21년전 4,407
별을꿈꾸… [좋은친구]8월 호를 읽고서.. 21년전 2,581
나비를 잡는 아버지.. 22년전 4,270
 오강남교수의 [예수는 없다]을 읽고... 22년전 2,943
★괭이부리말을 읽고,. 22년전 5,491
나의 음악이야기를 읽고. 22년전 2,848
신동헌의 재미있는 음악사이야기를 읽고 22년전 4,620
녹차아가… <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를 읽고 22년전 4,947
A. 카뮈 '이방인'에 대한 짥은소견 22년전 2,829
죽어서도 노래 부를 수 있는 다른 세상이 있… 22년전 3,027
오직 김견영 22년전 2,683
소공녀을 읽고나서 22년전 3,446
봄눈 동양적인 것의 슬픔 22년전 2,762
first123456789  다음  last
 
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포인트정책    
문.사 태어난 날 : 1999.09.01, 문.사 태어난 후 : 9439日 지남, 문.사 태어난 후 : 26주년
Copyleft (c) 문학과 사람들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