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로딩중...
문학과 사람들
글쓰기 (Alt+w) 글붙여넣기(Ctrl+v) ^^!
오늘의 최근글 , 최근코멘트 RSS
로그인 | 회원가입 | 둘러보기
07월 04 (금) | 배경음악             
  • 문학방
  • |
  • 창작방
  • |
  • 작가방
  • |
  • 커뮤니티
  • |
  • 마이페이지
 낙서장 ·방명록 ·대화방 ·접속자
커버스토리 ·
문.사 살짝 리뉴얼 했습니다. [6]
문.사 살짝 리뉴얼 했습니다. 6
- 문학방 -
아름다운시
소설
수필
동화
좋은책
독후감
작품공모
상담/Q&A
재미로 보는 타로점
최신글보기
태그구름
오늘출석부
현재접속자
 
> 문학방 ( 문학방 > 좋은책 )
·  마음이 포근해 지는 따스한 책을 소개해 주세요 !!
[소설] [책추천] 눈물을 마시는 새

     날짜 : 2003년 02월 05일 (수) 10:21:56 오전     조회 : 6104      
[ 출판사 리뷰 ]

『퓨처워커』,『폴라리스 랩소디』를 통해 환상 장르에 대한 다양한 실험을 시도하던 작가 이영도의 신작 『눈물을 마시는 새』가 황금가지에서 출간되었다. J.R.R. 톨킨이 지은『반지의 제왕』의 영향을 받던 한국의 다른 환상 소설들과는 달리 한국적인 소재를 바탕으로 독창적인 세계를 창조해 내는 환상 소설의 완성된 틀을 갖추었다. 특히 기존의 작품들이 단지 환상 세계에 국한된 꿈같은 이야기였던 것에 반하여 『눈물을 마시는 새』는 대하 사극과 같은 장대한 스케일을 바탕으로 현대적 제왕의 틀을 제시하는 진일보된 형태의 대하 환상 소설로 과감한 변신을 시도하였다. 이뿐 아니라 톨킨이 창조해 낸 <중간대륙(MiddleEarth)>처럼 작품 속의 전체 세계의 구성, 즉 언어, 생활 방식과 각 종족 간의 특성까지 모두 작가 이영도가 순수 창조하였다. 이는 독창적이고 완성된 판타지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어, 미국과 일본의 판타지 소설의 영향권에서 벗어나지 못하던 한국 환상 소설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지배자에 대한 진지한 이해와 접근을 시도한 새로운 형태의 환상 소설
2차 세계 대전 중에 절대 악과 그 악에 맞서서 권력을 좌지우지해야 했던 권력자들의 갈등을 소설로 담아낸 J.R.R. 톨킨의 『반지의 제왕』이 반세기가 지나도록 많은 독자에게 읽혀진 이유는 권력의 상징인 ‘왕’과 그 주변 권력의 내부를 샅샅이 파헤칠 수 있는 봉건 시대를 바탕으로 씌어진 소설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판타지 소설만이 가진 이 독특한 특성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새로운 조건을 요구하게 되었다. 냉전 체제가 무너지고 권력의 질서가 재편되고 있는 현실에서 이를 다룰 새로운 화두가 절실히 필요했던 것이다. 『눈물을 마시는 새』는 그러한 화두에 대한 도전작이라고 볼 수 있다. 작품 전체를 아우르는 단어인 ‘왕’이라는 단어가 이를 대변하고 있다.『눈물을 마시는 새』에는 ‘왕’에 대한 일방적인 숙원(자신이 왕이 되고자 하거나 혹은 왕의 추종자가 되고자 하는 욕망)을 가진 등장인물들이 등장하여 사건을 전혀 다른 방향으로 전개시키거나, 왕에 대해 끊임없이 논의하고 추리함으로써 ‘지배자 계급이란 무엇인가?’라고 독자에게 묻고 있다. 그러면서도 작가는 작품의 제목에서 자신만의 해답을 풀어낸다. 제목인 ‘눈물을 마시는 새’라는 뜻은 작품 속에서 ‘백성들이 흘려야 할 눈물을 대신 마시는 왕’을 뜻한다. 이 뜻은 군왕의 조건은 많은 병력이나 부, 혹은 재능이 아니라 백성들이 슬픔이나 죄책감 등 수많은 고통을 대신 짊어져야 한다는 뜻을 담고 있으며, 왕이 대신 마셔주는 눈물 덕에 백성들은 잔인해질 수 있고, 얼마든지 남을 핍박하고 전쟁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눈물’은 인간이 해롭기에 몸 밖으로 뱉어내는 것이고, 이를 마신 왕은 오래 살 수도 없다. 작가는 제목과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단어인 권력자 ‘왕’에 대해 막연한 환상만을 갖고 있는 인간에게 ‘왕-지배자’라는 것이 갖는 무거움과 본연의 뜻, 그리고 그러한 인간의 상징물로 내세워진 ‘왕’으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공포를 환상 소설의 특성을 최대한 살려 전한다.

동양적 사상을 바탕으로 창조해 낸 새로운 대하 환상 소설
『눈물을 마시는 새』에는 기존 한국 환상 소설들과는 확연히 구분되는 것이 또 하나가 있다. 기존의 한국 환상 소설들은 미국이나 일본의 판타지 소설의 영향을 받아 대부분 중세 유럽만을 배경으로 다루고 있다. 그러나 『눈물을 마시는 새』는 동양적 색채, 특히 한국적 정서를 기본 바탕으로 집필되었다. 등장하는 주요 네 종족 중 하나인 ‘도깨비’ 경우가 이를 대표하는데, 씨름과 윷놀이를 좋아하며, 도깨비감투를 쓰고 남을 놀라게 하는 것을 즐기지만 피를 두려워하고 폭력을 싫어한다는 점에서 한국 전통의 도깨비와 흡사한 면을 갖고 있다. 또한 작품 속에서 중요한 단서가 되는 고대 왕국의 언어는 우리의 옛말(조선 중기에 사용되던 말)을 그대로 차용하고 있으며, 등장하는 생명체의 이름 역시 ‘두억시니’, ‘마루나래’ 등 순 우리말로 만들어졌다는 점도 이를 반증한다. 성당의 신부나 성직자, 대주교 등만 다루던 기존 판타지 소설과 달리 사원과 스님, 그리고 주지 등이 등장하는 것도 새로운 점이다.

이영도 식의 독특한 설정과 이야기 진행.
『눈물을 마시는 새』에서도 이전의 작품처럼 이영도 식의 독특하고 신비스러운 이야기가 독자의 눈을 사로잡는다. 특히 넷으로 구분된 색다른 종족들은 작품의 스토리와 부합되어 사건의 요소요소에서 새로운 반전을 일으키게 한다. 이중 가장 눈에 띄는 종족은 역시 현대의 인간과 흡사한 인간족이다. 왕이 되고자 하는 제왕병자들이 가득하고, 저마다 자신의 세력을 키우지만 정작 네 종족 중 가장 나약한 종족이라는 점은 모순으로 가득 찬 인간의 단면을 보여준다. 다른 종족도 이와 비슷한 모순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닭의 모습을 닮은 레콘 족은 3미터에 이르는 큰 키와 강인한 체력, 그리고 신의 선물인 무기를 갖고 있기에 네 종족 중 개인의 무력으로는 가장 강력하다고 볼 수 있지만 철저히 자신의 숙원만을 이루려는 개인주의 때문에 종족이 단합할 수 없고 언제나 홀로 싸우는 약점을 갖고 있다. 불을 자유자재로 다루는 도깨비는 마음만 먹으면 일거에 수십만을 죽일 수도 있지만, 근본적으로 폭력과 피를 두려워하는 까닭에 세상에 아무런 영향도 주지 못한다. 뱀처럼 비늘이 있고 변온 체질인 나가는 인간의 ‘말’이 아닌 정신적 교감인 ‘니름’을 통해 의사를 주고받으며 심장을 적출함으로써 반(半 )불사의 몸이 되었지만, 변온 체질이어서 북부 지방의 저온을 이겨내지 못하는 체질적 한계를 갖고 있다. 작품 전체의 종족들 중 그 어떠한 종족도 완벽하지 못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는 후반부에 이르러 완성된 다섯 번째 종족에 대해 언급하며 내용의 극적 반전을 일으키는 배경이 된다.

작품 속에 사용되는 속담이나 격언 등도 종족적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독자의 흥미를 돋운다. 물을 두려워하는 특성을 가진 레콘의 경우 ‘붕어 저택에 빠져 죽을’, ‘녹은 얼음을 뒤집어 쓸’과 같은 욕설이 나오기도 하며, 말 대신 니름이라는 정신적 언어를 사용하는 나가들은 ‘니름도 안 된다(말도 안 된다)’, ‘니름 잘라먹지 마라(말 잘라먹지 마라)’ 같은 변종 언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종족을 초월하여 등장하는 ‘군령자’나 ‘유료 도로당’ 또한 독특한 이영도 식의 소설에서만 맛볼 수 있는 것들이다. 군령자는 한 육체에 오랜 시간 동안 여러 명의 영혼이 깃든 것으로 영화 『존 말코비치 되기』에서 이와 비슷한 육체를 목격할 수 있다. 영생하고자 하는 생명체의 욕구로 인해 탄생한 이 군령자는 항시 ‘더 이상 전령하지 않고 죽겠다.’고 주장하지만 결국 죽을 때에 이르러서는 영생을 위해 남에게 전령하는 나약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유료 도로당’이라는 단체는 작품 속에서 길을 정비하는 대신 통행세를 받는 이들로서, 돈을 지불하고 도로를 이용하는 여행객은 고객이며, 무임으로 이용하는 여행객은 무조건 적으로 규정하는 독특한 단체이다. 하지만 그 철저한 규정으로 인해 인간 전체의 적조차도 돈을 지불하기만 하면 고객으로 규정하는 모순에 빠지기도 한다.

=====================================================================
하이텔에서 연재되는 도중에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봤습니다.
그리고 알바해서 돈모으면 바로 살려는 책입니다.
현재 한국판타지에서 이영도이상의 작가가 없다고 합니다만...
눈물을 마시는 새는 이영도가 한국의 톨킨, 나아가서는 아시아의 톨킨이라고 불리우게 될 지도 모른다는 섯부른 상상을 하도록 만들어 주더군요.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사슴벌레
03.03
드래곤라자 역시_ 너무나 재미있게 읽어서, 눈물을마시는 새 또한, 기대가 상당히 되네요. 저도 얼른 읽어야겠어요^-^
하늘에떠…
04.03
이영도이상의 작가? 많습니다. 함부로 한국계의 작가들을 무시하지 말아주십시요 지금 강호에는 숨겨진 주옥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영도는 그 중에서 빛을 바라본 사람들중 하나일뿐이지요. 그리고 톨킨... 반지의 제왕 이전의 고대 판타지를 읽어 보셨는지. 읽어 보셨스면 이거 전부 수정해야 할듯... 그리고 참고로 판타지의 시초는 우리 동양인들입니다. 중국과 한국 일본의 옛 기록들을 들쳐보시면 어떠하실런지. ?

  전체 : 590건
비소설 좋은 책란을 채워주시기전에 꼭 … 19년전 34,490
best "마음을 열어 주는 101가지 이야기" [2] 22년전 8,561
비소설 물은 답을 알고 있다 22년전 5,261
소설 노박씨 이야기 - 지은이 : 슈테판 슬루페츠키[… [1] 22년전 5,733
비소설 그러나 나는 살아가리라 [2] 22년전 8,157
소설 시바 료타로 -항우와 유방(전3권) 22년전 4,391
비소설 파페포포 메모리즈 [5] 22년전 7,880
비소설 신화가 된 여자 오프라 윈프리 22년전 4,936
양바라기 비소설 스무살이 넘어 다시읽는 동화 [3] 22년전 8,101
시집 사랑을 묻는 당신에게...-정채봉 22년전 5,220
하늘에떠… 소설 우울과 몽상 (홍성영 편 E.A Poe작) [2] 22년전 6,155
비소설 팃낙한 - 화 [3] 22년전 10,310
사슴벌레 비소설 꿈꾸는 자는 멈추지 않는다_ 전성철 [2] 22년전 7,703
사슴벌레 소설 나는 선생님이 좋아요_ 하이타니겐지로. [1] 22년전 4,852
소설 은희경의 "새의선물" 공지영의 "착한여자" [5] 22년전 5,237
소설 태엽감는새. [1] 22년전 4,959
수필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워] 22년전 4,334
수필 『우리시대의 명작』 22년전 4,178
수필 『아버지』 [1] 22년전 6,574
수필 『야 생 초 편 지』 [2] 22년전 7,225
수필 포엠툰 [3] 22년전 7,475
소설 꼬마성자 몽몽 22년전 3,218
일편단심 수필 『연탄길』 22년전 4,911
소설 메밀꽃필무렵을 추천합니다 22년전 4,404
소설  [책추천] 눈물을 마시는 새 [2] 22년전 6,105
에세이 동물과 대화하는 아이 티피._티피 드그레. [2] 22년전 8,159
best 다이고로야 고마워란 책을 읽어보세염 [3] 22년전 8,513
first123456789  다음  last
 
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포인트정책    
문.사 태어난 날 : 1999.09.01, 문.사 태어난 후 : 9439日 지남, 문.사 태어난 후 : 26주년
Copyleft (c) 문학과 사람들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