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서평》
우리는 지금까지 ‘노천명’의 작품들을 접하면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그녀의 고독, 향수 등 서정적 정서에 익숙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저자는 이 소설을 통해 <이름 없는 여인이 되어>에서 짙게 풍기는 그녀의 이 같은 정서들을 논리적으로 재정립을 시도하는 한편, 그녀의 영혼이 왜 그토록 맑은지에 대해 집중 해부했다. 또한, 저자는 이 시가 부역혐의로 20년형을 선고받고 수감됐을 당시 절망적인 심리 상태에서 쓰여 진 것이지, 결코 우리가 그동안 알아왔던 서정적이고 목가적인 정서로 쓰여 진 것이 아님을 강변하고 있다. 한편, 이 소설 속 주인공들인 젊은 연인이 인고의 세월 속에서 이루어낸 숭고한 사랑의 과정 또한 독자들의 심금을 유감없이 울리고도 남는다. 그리고 이 소설 속에서 추구되는 사랑의 과정이 ‘에밀리 브론테’ 작 <폭풍의 언덕>과의 차이점을 비교해보는 맛 또한 제법 쏠쏠하다.
《줄거리》
여성의 본능은 진정 사랑하는 이의 아이를 갖는 것이다.
이 소설의 스토리는 1978년 10월말 성균관대학에서부터 본격 시작된다. 졸업반인 ‘오은경’은 같은 과 ‘이민우’에게 꼭 간직해달라는 당부와 함께 국전에서 입선한 《이름 없는 여인이 되어》 서예작품을 선물한다, 그녀는 내심 그와의 결혼을 강력히 바래왔으나 사정이 여의치 못한 민우는 졸업식 날 그녀에게 단 한마디 작별인사도 없이 홀연히 자취를 감춰버린다. 그 후 ‘은경’은 눈물로 얼룩진 5년의 세월 속에서 그로부터 어떤 연락이 오기만을 학수고대하다가, 종국에는 부모님이 강요하는 집안 자제와 결혼하기로 마음을 고쳐먹는다. 이 사이 ‘민우’가 며칠 전 결혼했다는 사실을 우연히 알게 된 ‘은경’은 걷잡을 수 없는 충격 속에서 작심하고. 신혼여행지로부터 돌아오던 날 밤늦게 전화해 그를 강제로 불러내 순결을 주고 영영 떠나버린다. 그로부터 30년 후, ‘은경’이 ‘민우’의 사무실로 불쑥 찾아와 조만간 외국으로 떠나기 때문에 이번에야 말로 정말 마지막 인연이 될 것이라면서 출국 날 공항으로 나와 줄 것을 간청한다. ‘은경’은 공항에서 울먹이며 ‘민우’에게 시한부 암투병중임을 토로(吐露)하고, 데리고 나온 딸이 바로 당신 딸이라는 말만 짧게 남긴 채 재빨리 출국장 안으로 들어가 버린다. 이에 화들짝 놀란 ‘민우’는 그녀를 붙잡으려 했지만 이미 때는 늦어버렸다. 그는 눈시울을 붉히며 그녀와 딸이 마음을 고쳐먹고 다시 나와 주기만을 간절히 바라지만, 영영 나타나지 않는다.









댓글 쓰기를 비허용한 글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