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로딩중...
문학과 사람들
글쓰기 (Alt+w) 글붙여넣기(Ctrl+v) ^^!
오늘의 최근글 , 최근코멘트 RSS
로그인 | 회원가입 | 둘러보기
05월 18 (일) | 배경음악             
  • 문학방
  • |
  • 창작방
  • |
  • 작가방
  • |
  • 커뮤니티
  • |
  • 마이페이지
 낙서장 ·방명록 ·대화방 ·접속자
커버스토리 ·
문.사 살짝 리뉴얼 했습니다. [6]
문.사 살짝 리뉴얼 했습니다. 6
- 문학방 -
아름다운시
소설
수필
동화
좋은책
독후감
작품공모
상담/Q&A
재미로 보는 타로점
최신글보기
태그구름
오늘출석부
현재접속자
 
> 문학방 ( 문학방 > 좋은책 )
·  마음이 포근해 지는 따스한 책을 소개해 주세요 !!
[소설] 2012년 뇌를 둘러싼 음모와 비밀, 소설 <프라이온>

     날짜 : 2011년 06월 10일 (금) 2:19:58 오후     조회 : 10812      
   http://bit.ly/knuDap (2193)

주원은 이충섭이 누워 있는 카트를 끌고 수술실로 들어왔다. 이충섭의 몸에는 정맥선이 연결되어 있었고, 일정한 속도로 마취제가 주입되고 있었다. 주원과 서윤은 수술용 베드 위에 이충섭을 눕히고, 팔과 다리를 붕대로 묶었다. 그리고 서윤은 한쪽 귀 끝에서 반대편 귀 끝까지 두피를 절개한 후 피부를 얼굴에 덮고, 두개골 위에 수술용 톱을 올리고 썰기 시작했다. 뼈가 쓸릴 때마다 뼛가루가 떨어졌고, 핏물과 뼛가루는 섞여서 찐득찐득해진 상태로 바닥에 눌러 붙었다. 라텍스 장갑은 이내 땀에 젖어 서윤의 손등에 달라붙었다. 쓱싹쓱싹 뼈가 갈리는 소리와 마스크로 뜨거운 숨을 뱉어내는 소리만이 수술실을 채웠다. 예상보다 시간은 지체되었지만, 드디어 두개골이 쩍 하는 소리를 내며 갈라졌다. 주원은 베드를 접어 이충섭이 앉은 자세가 되게끔 만들었다.

“윽!!”

그 때, 갑자기 이충섭이 눈을 뜨고 눈알을 이리저리 굴리기 시작했다. 근육이완제를 주입했기 때문에 몸을 완전히 움직이진 못했지만, 손가락과 발가락을 조금씩 까딱거리기 시작했다. 서윤은 이충섭과 눈이 마주친 순간, 그의 핏발선 공포와 두려움이 자신의 머릿속으로 들어오는 것을 느꼈다.

  _?xml_: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

곧 커다란 스크린이 내려오고 조명이 꺼졌다.

“선진 뇌과학 연구소 여주원입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기억력 향상 프로젝트’입니다. 현재 아이들의 기억력과 학습 능력 신장에 쓰이는 약물들이 있지만, 저희가 이번 연구에 이용할 것은 약물이 아니라 미생물입니다. 미생물 중에서도 생명의 근본 법칙이라는 센트럴 도그마(Central dogma)에 위배되는 복제능력을 가진 프라이온입니다.”

송 교수는 가만히 고개를 끄덕이고 있었다. 미생물을 이용한 기억력 향상 프로젝트라고 하기에 프라이온을 떠올리긴 했었다. 프라이온이 인간의 뇌 중 기억에 관여하는 부위를 집중으로 파괴하는 것은 물론, 생체에 원래부터 존재하여 장기기억과도 관련 있기 때문이다. 프라이온과 기억력의 관계는 굉장히 흥미로운 연구 주제다.

“에릭 캔델 박사의 논문에 의하면, 세로토닌이 뉴런을 반복해서 자극하면, 뉴런에 있는 CPEB 단백질이 프라이온 형태의 단백질로 변하게 됩니다. 즉, 이 감염형 프라이온이 붙어있는 뉴런에 있는 정보는 장기기억으로 남게 되는 것이죠. 기존의 기억력 향상 약물인 리탈린과 프로비질은 뇌의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촉진시키지만, 이 프로젝트는 감염형 프라이온 자체를 주입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감염형 프라이온은 다른 비감염형 프라이온들을 감염형으로 변환시킵니다. 많은 단기기억들이 신경전달물질의 자극 없이 장기기억화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홀 안의 사람들은 갑자기 웅성거리기 시작했다. 안 그래도 사람들이 광우병의 공포에 시달리고 있는데, 광우병의 원인체인 프라이온을 단지 기억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몸에 직접 투여한다? 과연 이 생체실험을 어떻게 진행할 것이며, 누가 실험 대상자로 선택될 것인가.

“이 프라이온 투여에 있어서 공여자(Donor)와 수혜자(Recipient)의 매칭은 중요합니다. 그래서 뉴로넷을 이용해 투여 전에 공여자와 수혜자의 신경회로망을 비교하고, 겹치지 않는 부분의 뇌조직에서 프라이온을 추출해야 할 것입니다. ...(중략)...이 프라이온이 단지 기억력만 향상시키는 것일까요? 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프라이온은 꺼져 있는 신경회로망을 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니, 치매 환자뿐만 아니라 어쩌면, 뇌사 환자의 뇌를 살려낼 수도 있는 것이죠.”

기억력 향상에서 더 나아가 뇌사자, 죽은 사람을 살려낸다니. 여기저기서 사람들의 뜨악거리는 소리가 들리는 것 같았다.

 

☆

좌뇌의 전두엽이 발달한 사람들은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가진다고 한다. 인간의 뇌가 좌뇌가 우세하게 발달해 온 것은 다 그 이유가 있을 것. 진화는 긍정적으로 사고하는 것이 살아남는 데에 더 나을 것이라고 선택한 것이다...... 좌뇌는 긍정적인 생각을 하고, 우뇌는 부정적인 생각을 한다? 결국, 좌뇌가 삶을 향해 있다면, 우뇌는 죽음을 향해 있다.

 

☆

언젠가 그 사람은 사랑을 불편한 감정이라 했었지. 그리고 그 불편함의 정체는 바로 욕망이라고. 서로의 시공간에 침범하고 싶지만, 본질적으로는 타인과 거리를 둘 수밖에 없는 운명의 인간. 섹스란 하나가 되고픈 인류의 염원을 담은 몸부림일 뿐.

 
_<프라이온> 본문 인용

Tag : 뉴로사이언스 뇌신경과학 

그냥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06.11
와 ㅋㅋ 재밌겠다 ㅋㅋ 한번 읽어봐야겠네요 ㅎ, 최근에 별로 읽고싶은 책이 없었는데 ㅎ

06.17

올 저도 읽어 보고 싶네요 ^^


08.15
뭐...뭔가 무서운 느낌이 들면서도 흥미롭네요;;
읽어봐야겠어요!!추천 감사합니다~

12.02
재밌겠는데!! 뇌만큼 신기한 것도 없죠 ㅎㅎㅎ
완전 우주처럼 복잡하죠
아직 밝혀지지 않은것도 많고
소우주 ㅎㅎㅎㅎㅎㅎ

  전체 : 590건
비소설 좋은 책란을 채워주시기전에 꼭 … 19년전 32,798
소설 미 비포 유 11년전 8,272
소설 소재원 『터널』 11년전 8,299
시집 안동 까치밥나무 11년전 8,032
수필 어린 시절 고향으로의 정겨운 여행, [시골길… 12년전 8,816
소설 수호지 읽고 있는데 괜찮네요 [1] 12년전 13,032
에세이 유머 웃음 행복이 있는 행복노트 12년전 7,185
소설 명성황후는 시해당하지 않았다 [1] 12년전 12,028
소설 무기가 아닌 언어로 싸우는 두 나라의 배꼽잡… 13년전 8,401
소설 무섭고, 너무나 슬픈ㅠㅠ 공포소설 14년전 12,536
소설 왕따와 꼴찌들의 감동적인 드라마 "우리들은 … 13년전 7,803
소설 한가을 작가의 우주적 상상력 <최후의 인간> 13년전 11,891
소설 7년의 밤 - 정유정 [1] 13년전 11,780
소설 마음이 편안하고 따뜻해지는 청소년소설 또… [1] 13년전 10,815
시집 아름다운 여행 13년전 7,339
소설  2012년 뇌를 둘러싼 음모와 비밀, 소설 <프라이… [4] 13년전 10,813
소설 한국 단편 미학의 진수 <고엽> [1] 14년전 11,818
소설 그린게이블즈 빨강머리앤 [1] 14년전 11,270
소설 이사랑에 주목한다 <그 해 여름 갑자기> [1] 14년전 11,294
수필 아주 가벼운 깃털 하나 (공지영 에세이) [1] 15년전 12,226
소설 [11분] 파울로 코엘료 作 Onze Minutos [2] 15년전 14,009
비소설 뉴욕 미술의 발견 - 정윤아 [1] 15년전 14,651
시집 ★ 사랑하는 것은 / 이성진 지음 15년전 8,151
수필 시인 문태준의 첫 산문집 <느림보 마음> 15년전 6,003
수필 포스트 잇 (김영하 산문집) 15년전 6,434
소설 연을 쫓는 아이 15년전 7,922
수필 듀이 (세계를 감동시킨 도서관 고양이) [3] 15년전 8,554
first123456789  다음  last
 
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포인트정책    
문.사 태어난 날 : 1999.09.01, 문.사 태어난 후 : 9392日 지남, 문.사 태어난 후 : 26주년
Copyleft (c) 문학과 사람들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