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로딩중...
문학과 사람들
글쓰기 (Alt+w) 글붙여넣기(Ctrl+v) ^^!
오늘의 최근글 , 최근코멘트 RSS
로그인 | 회원가입 | 둘러보기
05월 18 (일) | 배경음악             
  • 문학방
  • |
  • 창작방
  • |
  • 작가방
  • |
  • 커뮤니티
  • |
  • 마이페이지
 낙서장 ·방명록 ·대화방 ·접속자
커버스토리 ·
문.사 살짝 리뉴얼 했습니다. [6]
문.사 살짝 리뉴얼 했습니다. 6
- 문학방 -
아름다운시
소설
수필
동화
좋은책
독후감
작품공모
상담/Q&A
재미로 보는 타로점
최신글보기
태그구름
오늘출석부
현재접속자
 
> 문학방 ( 문학방 > 좋은책 )
·  마음이 포근해 지는 따스한 책을 소개해 주세요 !!
[소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박완서-

     날짜 : 2002년 06월 17일 (월) 10:40:45 오후     조회 : 5158      


*본문 중에서*

엄마는 아직도 쫓기고 있었다. 엄마는 좌익조직으로부터 헛되게 도망을 다녔듯이 이번엔 전향한 후환으로부터의 도피를 시도하고 있었다. 나는 엄마가 전전긍긍하는 것을 전혀 터무니 없는 일종의 신경불안 증세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이번 이사야말로 가장 성공적인 치료가 되리라고 생각했다. 엄마에게도 나에게도 새롭게 전개될 생활에 대한 예감에 충만한 특별히 아름다운 5월이었다.

그러나 하필 1950년의 5월이었다. 남달리 명철한 엄마도 환멸을 예비하지 않고 마냥 마음을 부풀린다는 게 얼마나 어리석은 일이라는 걸 미처 모르고 있었다. 그해 6월이 다가오고 있었다.

지대가 높아 동네가 한 눈에 내려다보였다. 혁명가들을 해방시키고 숙부를 사형시킨 형무소도 곧장 바라다보였다. 천지에 인기척이라곤 없었다. 마치 차고 푸른 비수가 등골을 살짝 긋는 것처럼 소름이 쫙 끼쳤다. 그건 천지에 사람 없음에 대한 공포감이었고 세상에 나서 처음 느껴 보는 전혀 새로운 느낌이었다.

독립문까지 빤히 보이는 한길에도 골목길에도 집집마다에도 아무도 없었다. 연기가 오르는 집이 어쩌면 한 집도 없단 말인가. 형무소에 인공기라도 꽂혀 있다면 오히려 덜 무서울 것 같았다. 이 큰 도시에 우리만 남아 있다. 이 거대한 공허를 보는 것도 나 혼자뿐이고 앞으로 닥칠 미지의 사태를 보는 것도 우리뿐이라니. 어떻게 그게 가능한가. 차라리 우리도 감쪽같이 소멸할 방법이 있다면 그러고 싶었다.

그때 문득 막다른 골목까지 쫓긴 도망자가 휙 돌아서는 것처럼 찰나적으로 사고의 전환이 왔다. 나만 보았다는 데 무슨 뜻이 있을 것 같았다. 우리가 여기 남기까지 얼마나 많은 고약한 우연이 엎치고 덮쳤던가. 그래, 나 홀로 보았다면 반드시 그걸 증언할 책무가 있을 것이다. 그거야말로 고약한 우연에 대한 정당한 복수다. 증언할 게 어찌 이 거대한 공허뿐이랴. 벌레의 시간도 증언해야지. 그래야 난 벌레를 벗어날 수가 있다.

그건 앞으로 언젠가 글을 쓸 것 같은 예감이었다. 그 예감이 공포를 몰아 냈다. 조끔밖에 없는 식량도 걱정이 안 됐다. 다닥다닥 붙은 빈 집들이 식량으로 보였다. 집집마다 설마 밀가루 몇 줌, 보리 쌀 한두 됫박쯤 없을라구. 나는 벌써 빈 집을 털 계획까지 세워 놓고 있었기 때문에 목구멍이 포도청도 겁나지 않았다

--------------------------------------------------------------------------------

저자(박완서) 소개
1931년 경기도 개풍에서 출생하였고 서울대 국문과를 중퇴. 1970년 장편 <나목>이 '여성동아' 현상 모집에 당선됨으로써 등단.
주요 작품으로는 세모, 어떤 나들이, 지렁이 울음 소리, 부처님 근처, 부끄러움을 가르칩니다, 카메라와 워커, 도둑맞은 가난, 조그만 체험기, 꿈을 찍는 사진사, 공항에서 만난 사람, 우리들의 부자, 그 가을 사흘 동안, 엄마의 말뚝, 천변 풍경 등의 중단편들이 있다. 장편 소설로는 데뷔작 나목(1970)을 위시하여 도시의 흉년, 휘청거리는 오후, 목마른 계절, 오만과 몽상,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그 많은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등이 있다.


* 여러작품중 "미망"이란 작품도 있었죠?^^;;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06.23
언냐도 이책 읽었는데.. ^^*

08.02
저는 시골배경으루 한 소설이 참 좋아요 시골은..묘사할께 무궁무진하거든여

08.19
이 책읽으니깐..막 동심으로 가고 싶어 지드라구요.어릴떄로..그냥..아무생각없이 놀던때..

09.07
음......저두 어렸을때 생각이 나드라구요...땅냄새..공기(?)냄새..ㅋㅋ 철자가 맞는지 모르겠군.....음......

10.03
강.추!
사슴벌레
01.26
동감입니다=_= 저도강추-☆

10.15
*^^* 재밌어요^^ 풀 냄새가 그리워 지던데요? 싱아..

  전체 : 590건
비소설 좋은 책란을 채워주시기전에 꼭 … 19년전 32,799
소설 창가의 토토 [5] 22년전 5,595
소설    덧붙임 말... 《창가의 토토》 22년전 3,707
시집 素月의 名時 (소월의 명시) 22년전 5,174
추억의그… 소설 생명 22년전 3,674
추억의그… 시집 좋은글1 22년전 5,101
비소설 동화 밖으로 나온 공주 22년전 3,442
소설 사슴벌레여자....읽으신분 있나요? [5] 22년전 5,148
소설 사이버의 기적'맹목사'라는 소설을 아세요? 22년전 3,371
소설 별을 찾아 떠난 여행.. [4] 22년전 4,956
소설 냉정과 열정사이 [6] 22년전 5,173
소설 《모모》읽어보셨어요...? [2] 22년전 5,193
소설 상도... 괜찮은 소설이예여.. 22년전 3,119
소설 우동 한 그릇 [3] 22년전 4,859
시집 너는 떠나고 있다. -배알님- [2] 22년전 7,788
시집 사랑 그대로의 사랑 22년전 4,831
소설 위대한 개츠비 [6] 22년전 5,025
소설 얼굴 빨개지는 아이 [9] 22년전 5,112
시집 남겨진 시간을 위하여 -윤정강 [17] 22년전 8,506
시집 윤동주 시인의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22년전 4,422
비소설 철이 없으면 사는게 즐겁다.. [1] 22년전 4,622
소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박완서- [7] 22년전 5,159
best 괭이부리말 아이들 [2] 22년전 8,003
소설 너도 하늘말나리야 [2] 23년전 4,982
비소설 천사의 숨결 [4] 23년전 5,481
소설 제가 추천하는 책 23년전 3,963
시집 류시화-잠언집.... 23년전 5,934
first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  last
 
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포인트정책    
문.사 태어난 날 : 1999.09.01, 문.사 태어난 후 : 9392日 지남, 문.사 태어난 후 : 26주년
Copyleft (c) 문학과 사람들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