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로딩중...
문학과 사람들
글쓰기 (Alt+w) 글붙여넣기(Ctrl+v) ^^!
오늘의 최근글 , 최근코멘트 RSS
로그인 | 회원가입 | 둘러보기
05월 19 (월) | 배경음악             
  • 문학방
  • |
  • 창작방
  • |
  • 작가방
  • |
  • 커뮤니티
  • |
  • 마이페이지
 낙서장 ·방명록 ·대화방 ·접속자
커버스토리 ·
문.사 살짝 리뉴얼 했습니다. [6]
문.사 살짝 리뉴얼 했습니다. 6
- 창작방 -
창작시
창작글
창작동화
공개일기
학술방
상담/Q&A
재미로 보는 타로점
최신글보기
태그구름
오늘출석부
현재접속자
 
> 창작방 ( 창작방 > 학술방 )
· 학술,강좌,글쓰기 등등 창작에 관한 자료방
담담할수록 감동을 준다-좋은 글 쓰기<강좌 2>

     날짜 : 2012년 01월 22일 (일) 11:13:19 오전     조회 : 2511      


   2. 담담할수록 감동을 준다.

  글 쓰는 사람이 제일 빠지기 쉬운 함정이 ‘자기흥분’이다. 원래의 의도는 읽는 이에게 보다 실감나게 상황을 전달하여 공감을 갖게 하려는 순수함이었지만 이는 오히려 읽는 이의 냉담한 반응을 부추길 뿐이다.

  좋은 글을 쓸려면 우선 차분하고 냉정해야 한다. 내가 얻은 감동만큼만 표현하겠다는 생각으로 정리해나가면 읽는 이들은 각자 자기의 분량만큼 감동을 받는다. 글쓴이가 자기의 분량만큼을 읽는 이에게 기대하거나 강요하는 것은 욕심일 따름이다.

  상황을 설명하면서 지나치게 자기의 감정을 부어넣다 보면, 아무리 해도 모자란다는 생각이 자꾸 든다. 그럴수록 자기감정에 빠져 더 많은 설명이 보태진다. 그러나 읽는 이는 글쓴이의 일방적 과속으로 치닫는 감정(또는 상상)을 따라잡기가 힘들다. 처음에는 그러려니 하다가도 나중에는 스멀스멀 일어나는 반발심 때문에 더 읽기를 중단하고 만다.

  예를 들어 맑고 깊은 호수의 물빛을 ‘푸름이 너무 깊어...’ 정도로 표현하면 무난할 것을 ‘꼭 쪽빛을 닮았다’느니, ‘잉크를 풀어놓은 것 같다’느니, ‘코발트 빛 가을 하늘이 내려앉은 것 같다’느니 하며 장황하게 설명하면 거울처럼 맑디맑은 호수를 연상하던 읽는 이는 뜬금없이 초등학교 시절 손에 묻혔던 잉크가 생각나 감정이 산만해진다.

 ‘깊은 푸름’에서 초록빛을 떠올리든, 남색을 떠올리든, 파랑색을 떠올리든 그것은 읽는 이의 몫으로 남겨두는 게 좋다. 읽는 이들은 각자 자기 나름의 추억을 간직하고 있어 나름의 해석을 하면서 행복해 하고 자기도 모르게 글 속으로 빠져들게 되는 것이다. 마치 동양화에 여백을 많이 남겨두어 감상하는 사람에게 상상의 날개를 펼치도록 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그러나 사실 어지간히 글줄이나 쓸 줄 아는 사람에게도 흥분이라는 함정에 빠지지 않고 담담한 자세를 줄곧 지켜나가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니기는 마찬가지다.

           요점 : ① 흥분은 자기함정이다. ② 읽는 이의 상상력을 제한하지 말라.


 

[이 게시물은 Free님에 의해 2012-01-27 15:17:17 좋은글에서 이동 됨]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전체 : 44건
 담담할수록 감동을 준다-좋은 글 쓰기<강좌 2> 13년전 2,512
좋은 글 쓰기 <강좌 1> 13년전 2,458
우리의 말 글이 위태롭다 [3] 13년전 2,929
감정의 노출과 감정의 억제 [1] 21년전 3,424
외화성 언어와 피상적 인식 [2] 21년전 3,831
상투적 표현과 관습적 인식 [3] 21년전 3,810
시적 표현과 고정관념 [3] 21년전 3,668
여러 사람들의 비평, 강의 中 메모한 것. 21년전 2,570
시의 희미한 힘 21년전 2,222
시적 표현의 특징 [1] 21년전 2,863
문학의 장르 21년전 1,802
시 [4] 21년전 2,185
파토스적 감동 [4] 21년전 2,529
로고스적 감동 [2] 21년전 2,423
주지적 성격이 강화된 시(intellectual poetry) 21년전 3,898
주정적 성격이 강화된 시(emotional poetry) 21년전 1,640
시어(poetic language) 21년전 1,549
시론(詩論) [1] 21년전 2,406
first12
 
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포인트정책    
문.사 태어난 날 : 1999.09.01, 문.사 태어난 후 : 9393日 지남, 문.사 태어난 후 : 26주년
Copyleft (c) 문학과 사람들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