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로딩중...
문학과 사람들
글쓰기 (Alt+w) 글붙여넣기(Ctrl+v) ^^!
오늘의 최근글 , 최근코멘트 RSS
로그인 | 회원가입 | 둘러보기
05월 19 (월) | 배경음악             
  • 문학방
  • |
  • 창작방
  • |
  • 작가방
  • |
  • 커뮤니티
  • |
  • 마이페이지
 낙서장 ·방명록 ·대화방 ·접속자
커버스토리 ·
문.사 살짝 리뉴얼 했습니다. [6]
문.사 살짝 리뉴얼 했습니다. 6
- 창작방 -
창작시
창작글
창작동화
공개일기
학술방
상담/Q&A
재미로 보는 타로점
최신글보기
태그구름
오늘출석부
현재접속자
 
> 창작방 ( 창작방 > 학술방 )
· 학술,강좌,글쓰기 등등 창작에 관한 자료방
감정의 노출과 감정의 억제

     날짜 : 2003년 10월 21일 (화) 0:26:51 오전     조회 : 3423      
다음의 인용문을 비교해 보자.


파아란 하늘이 가없이 퍼져
검푸른 바다처럼 마음을 시원하게
넓고 넓은 저곳에 누가 살고 있을까
그곳은 피안으로나마
우리를 기다리고 있겠지
---[도시의 여름]

강바닥 모래알 스스로 도는
진주 남강 물맑은 물같이는,
새로 생긴 혼이랴 반짝거리는
진주 남강 물빛 밝은 물같이는,
사람은 애초부터 다 그렇게 흐를 수 없다.
---박재삼, [남강에서]


[도시의 여름]은 푸른 하늘을 보며 "저곳에 누가 살고 있을까"라는 상념에 사
로 잡혔다가 '누가 살고' 있지 않으면 "피안으로나마/우리를 기다리고 있겠지"라
는 막연한 느낌을 그대로 적고 있다.

이와는 다르게 [남강에서]는 [도시의 여름]과 유사하게 강물을 바라보며 우리들
인간의 삶에 대한 느낌을 노래하고 있다.
그러나 그느낌은 막연한 상념이 아니라 사람은 애초부터 진주 남강의 "물맑은
물같이는" "물빛 밝은 물같이는" 흐를수 없다는 시인 나름대로의 깨달음을 보
여주고 있다.
그 깨달음은 막연한 상태의 그것이 아니라 진주 남강의 그 '물맑은 물'같이는, '
물빛 밝은 물'같이는 흐를수 없다는 구체적이고 경험적인 사실을 동반한 그것이
다. 그러니까 [도시의 여름]은 사전적 용어를 그대로 빌어 이야기하자면 감흥이
긴 하되 혼잣소리 또는 푸념의 차원이며, [남강가에서]는 삶에 대한 자각을 진
주 남강의 물을 차용해 표현한 작품인 것이다.

시란 감정의 단순한 표현이 아니라 세계가 숨기고 있는 모든 가치로운 것들을
감지하고 표현하는 예술형식이다. 그런 까닭으로 시에는 푸념이나 혼잣소리가
끼어들 틈이라고는 조금도 없는 그런 감정의 세계이다.
시란 "감정의 해방이 아니고 감정으로부터의 탈출"이라는 엘리어트의 말을 이런
점에서도 귀담아둘 필요가 있다. 그러니까 [도시의 여름]은 미적 또는 시적 인식
이란 어떤 것인가에 대한 질문 없이 관습적인 인식으로, 즉 동시-지난날 읽었던
몇 편의 시에서 본 외화성 수사-사전적 인식-사전적 인식-시쓰기로 이어진 결
과이다.
만약 [도시의 여름]을 쓴 사람이 위와 같은 점을 한번이라도 검토해 보았다면
다음과 같이 썼을지도 모른다.


빌딩사이로 흰 구름이 오락가락한다
불볕은 뜨겁고
아스팔트 위에는
봉고 포니 그랜저 벤츠 프라이드 르망이
줄을 잇는다.
이글거리는 여름 한낮

이 정도만 되었어도 소박한 묘사형의 시는 되었으리라.


오규원 저, 현대 시작법에서 발췌. 위의 [도시의 여름] 이란 시는 전에 올린 '상
투적 표현과 관습적 인식'에서 인용하고 있는 시임.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12.12
감정으로부터의 탈출이라.. 제가 아직 시를 잘 몰라서 많이 배워야겠네요. 잘부탁드립니다-

전체 : 44건
담담할수록 감동을 준다-좋은 글 쓰기<강좌 2> 13년전 2,511
좋은 글 쓰기 <강좌 1> 13년전 2,457
우리의 말 글이 위태롭다 [3] 13년전 2,928
 감정의 노출과 감정의 억제 [1] 21년전 3,424
외화성 언어와 피상적 인식 [2] 21년전 3,831
상투적 표현과 관습적 인식 [3] 21년전 3,810
시적 표현과 고정관념 [3] 21년전 3,667
여러 사람들의 비평, 강의 中 메모한 것. 21년전 2,569
시의 희미한 힘 21년전 2,222
시적 표현의 특징 [1] 21년전 2,863
문학의 장르 21년전 1,801
시 [4] 21년전 2,184
파토스적 감동 [4] 21년전 2,529
로고스적 감동 [2] 21년전 2,423
주지적 성격이 강화된 시(intellectual poetry) 21년전 3,898
주정적 성격이 강화된 시(emotional poetry) 21년전 1,640
시어(poetic language) 21년전 1,549
시론(詩論) [1] 21년전 2,406
first12
 
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포인트정책    
문.사 태어난 날 : 1999.09.01, 문.사 태어난 후 : 9393日 지남, 문.사 태어난 후 : 26주년
Copyleft (c) 문학과 사람들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