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로딩중...
문학과 사람들
글쓰기 (Alt+w) 글붙여넣기(Ctrl+v) ^^!
오늘의 최근글 , 최근코멘트 RSS
로그인 | 회원가입 | 둘러보기
05월 19 (월) | 배경음악             
  • 문학방
  • |
  • 창작방
  • |
  • 작가방
  • |
  • 커뮤니티
  • |
  • 마이페이지
 낙서장 ·방명록 ·대화방 ·접속자
커버스토리 ·
문.사 살짝 리뉴얼 했습니다. [6]
문.사 살짝 리뉴얼 했습니다. 6
- 창작방 -
창작시
창작글
창작동화
공개일기
학술방
상담/Q&A
재미로 보는 타로점
최신글보기
태그구름
오늘출석부
현재접속자
 
> 창작방 ( 창작방 > 학술방 )
· 학술,강좌,글쓰기 등등 창작에 관한 자료방
시적 표현과 고정관념

     날짜 : 2003년 10월 21일 (화) 0:21:07 오전     조회 : 3667      
시 또는 시창작에 관한 상당한 정도의 수준을 갖춘 사람은
예외에 속하지만 대부분은 시적 표현에 어떤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다.
즉, 어떤 종류의 표현만을 시로 생각하는 경향이 그것이다.
이런 고정관념 또는 편견은 잘못된 교육과 독서의 과정에서
형성된 것으로 올바른 시의 이해에 큰 장애가 될뿐 아니라,
시를 창작하고자 할때도 제일 먼저 뛰어넘어야 할 벽과 같은 존재이다.
이 벽과 같은 고정관념을 이겨내기 위해 몇 가지만 알아보자.
여기에 3편의 시가 있다. 이 3편을 읽고 어느 작품이
가장 시답다고 느껴지는지 한 번 골라보라.
그러면 스스로가 어떤 고장관념에 물들어 있는지 알게 된다.


피를 흘리며 땀을 흘리며
퍼렇게 멍든 강은
꽃망울 송이 송이 터뜨릴 내일을 향해
힘차게 흘렀다.
숨이 차오는 순간의 고통을
뒤로 뒤로 밀어놓고
높은 산을 타고 넘는 바람처럼
끓어오르는 뜨거운 마음을
안으로 숨기며
강은 쉼없이 흘렀다.
둑에 부딪히고
바위에 상처를 입고
뱃머리에 갈라지는 가슴을 안고
강은 한 마디 말없이
앞으로만 흘렀다. [강.1]


푸른 혈맥이 엉키어
살아 꿈틀거리는 가슴
수천 년을 이어온 꿈이
암흑과 광명을 씻으며
내일로 굽이친다.
푸른 하늘을 닮은 눈이
영원을 비추며
오욕의 역사를 더듬으며
구슬처럼 반짝이고
아무도 점치지 못하는 미래의
한 광휘를
저리도 온후한 전신으로
조용히 말한다. [강.2]


강은 둑을 따라 천천히 흘렀다.
가다가 잠깐 발을 멈추고
행락객이 모두 가버린
여인숙의 닫힌 창문을 보며
밟힌 풀이 다시 허리를 펴는
순간을 보며
천천히 흘렀다.
다시 이곳을 올 수 있는
날은 어떤 강에게도 없다.
다가올 다른 세계를 기다리며
눈을 감고 생각하기도 하고
몸을 모로 눕히고
먼 산을 보기도 하며 흘렀다. [강.3]

[강.1] 은 장식적 수사가 눈에 거슬리는 작품이다.
이것 저것 끌러들여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꾸미고 있기 때문이다. 한 번 조심스럽게 읽어보라.
그러면 이 시가, 강이 '힘차게''쉼없이''앞으로만' 흐른다는 내용을
강조하기 위한 시구들로 가득차 있음을 알 것이다.
즉 이 시는 '힘차게 흐르는' 강이라는 단순한 내용을 꾸미는
시구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이 작품이 가장 시답다고 느끼는
사람은, 시란 무엇인가 다른 글과 달리 화려한 수사 속에 있으리라는
잘못된 인식위에 있다.
[강.2]는 현학취가 강한 작품이다.
아는 체하는, 어딘가 철학적인 냄새를 피우고있다.
강을 "푸른 혈맥이 엉키어/살아 꿈틀거리는 가슴"이라든지
"수천년을 이어온 꿈이/암흑과 광명을 씻"는다든지 하는 표현들이
그것이다. 시가 철학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는 것은
시 속에 깊은 뜻이 있다는 의미이며 철학적인 수사를 쓰고 있다는 것은
아는체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강.2]를 가장 좋다고 느낀 사람은,
시란 어려운 또는 남들이 잘 모르는 표현을 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에
사로 잡혀 있을 가능성이 많다.
[강.3]은 사실적인 인식으로 부터 출발하고 있는 작품이다.
장식적이지도 않고 현학적이지도 않다.
관찰을 통해 감각한 사실적 풍경과 심상을 작품으로 재구성 해놓고 있다.
그러니가, 이 사실적인 관찰을 중요시하고 [강.3]을 가장 좋다고 느낀 사람은
무엇보다 먼저 세계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고,
또 그것이 모든 사고의 출발점이라는 점을 알고 있는 경우가 된다.
그러니까, [강.3]을 가장 좋다고 느낀 사람이
시에 관한 바른 인식을 갖고 있는 경우이다.
어떻든 그 어느 쪽이든, 위에서 알아본 자기 검토를 유의하면서
앞으로 제기될 문제를 살펴보면 더욱 효과적이다.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06.21
현대시작법인가 -_-a
가등기담…
11.18
모든것이 변하듯 ,시 라는 쟝르도 진화한다고 생각합니다
단군할배
06.30
그럼 나만의 시 표현방식은 어떡게 해석을

전체 : 44건
담담할수록 감동을 준다-좋은 글 쓰기<강좌 2> 13년전 2,511
좋은 글 쓰기 <강좌 1> 13년전 2,457
우리의 말 글이 위태롭다 [3] 13년전 2,929
감정의 노출과 감정의 억제 [1] 21년전 3,424
외화성 언어와 피상적 인식 [2] 21년전 3,831
상투적 표현과 관습적 인식 [3] 21년전 3,810
 시적 표현과 고정관념 [3] 21년전 3,668
여러 사람들의 비평, 강의 中 메모한 것. 21년전 2,569
시의 희미한 힘 21년전 2,222
시적 표현의 특징 [1] 21년전 2,863
문학의 장르 21년전 1,801
시 [4] 21년전 2,185
파토스적 감동 [4] 21년전 2,529
로고스적 감동 [2] 21년전 2,423
주지적 성격이 강화된 시(intellectual poetry) 21년전 3,898
주정적 성격이 강화된 시(emotional poetry) 21년전 1,640
시어(poetic language) 21년전 1,549
시론(詩論) [1] 21년전 2,406
first12
 
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포인트정책    
문.사 태어난 날 : 1999.09.01, 문.사 태어난 후 : 9393日 지남, 문.사 태어난 후 : 26주년
Copyleft (c) 문학과 사람들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