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로딩중...
문학과 사람들
글쓰기 (Alt+w) 글붙여넣기(Ctrl+v) ^^!
오늘의 최근글 , 최근코멘트 RSS
로그인 | 회원가입 | 둘러보기
07월 04 (금) | 배경음악             
  • 문학방
  • |
  • 창작방
  • |
  • 작가방
  • |
  • 커뮤니티
  • |
  • 마이페이지
 낙서장 ·방명록 ·대화방 ·접속자
커버스토리 ·
문.사 살짝 리뉴얼 했습니다. [6]
문.사 살짝 리뉴얼 했습니다. 6
- 창작방 -
창작시
창작글
창작동화
공개일기
학술방
상담/Q&A
재미로 보는 타로점
최신글보기
태그구름
오늘출석부
현재접속자
 
> 창작방 ( 창작방 > 창작글 )
·  창작글을 적어주세요 ^^
[수필] 상처는 아물지 않는다

     날짜 : 2009년 09월 15일 (화) 5:57:43 오후     조회 : 4034      
 



상처는 아픈 자리다. 아물지 못해 통증으로 남는 슬픔이자 피해. 자주 틈틈이 아리고 심란한 흔적이 바로 상처다. 아프다는 것, 잊을 수 없다는 것, 어떤 날엔 아랫입술을 깨물어야 하고 또 어떤 날엔 절로 나오는 한숨에 고개를 저어야 하는 것, 상처가 가져오는 헛헛한 심사는 우울증을 넘어 쓸쓸하기만 하다. 그러나 무엇보다 상처를 참을 수 없는 괴로움은 쉽사리 치유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딱지가 앉을 겨를이 없이 시시때때로 피가 나고 아파오는 하루 또 하루, 그러니까 결국 모든 상처는 아물지 않는다. 

상처는 누군가로부터 온다. 혹은 누군가로부터 왔다고 믿는다. 길을 걷다가 넘어져 무릎이 까져도 결국엔 길바닥이 무릎에 상처를 낸 것이라 생각하게 된다. 자의에 의해 생긴 상처란 없는 법이다. 하물며 사람이랴. 억장이 무너져 내리는 슬픔이나 까맣게 타들어가는 속내, 이를 갈다가 미안해지고 다시 미안해 하다가 원망을 키우는 마음은 이런 법칙들을 함의하고 있기 때문에 하루에도 열두번씩 기가 막히고 눈물이 나서 넋을 놓게 되고 마침내 궹궹한 북어의 눈으로 말라가는 것이다.

상처는 내가 키우며 산다. 잊을 만하면 무엇에 대이고 참을 만하면 가려워져서 붉고 서러운 상처는 다시 덧나게 되고 커져만 간다. 비가 오면 비가 와서, 눈이 오면 눈이 와서, 바람이 불어서, 날이 흐려서, 상처는 아리고 쓰리다. 원망이 쌓여 독해지다가도 어떤 날 어떤 자리에 아무 뜻없이, 좋던 일 잘해주던 일만 생각나는 눈물바람이 속절없이 그렇다. 추억을 봉인해야만, - 아니 추억이라 부르기 싫다면 -  기억이라도 묻어야만 딱지가 않는 법인데 안그래도 아픈 상처를 도리어 내가 긁고 키우며 사는 일이라니.

무릇 상처란 허방을 딛고 견디는 일이다. 미안하지만 우리는 다만 견딜 수 있을 뿐이다. 조금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잊기 시작하면서 조금씩 참을 수 있는 것이다. 잊는 마음, 잊혀지는 사람이 전부인 세상. 어떤 슬픈 말보다 독하고 야멸찬 단절이 있고 난 후에야 서서히 무뎌지는, 자기 자유를 확장하는 칸트의 법칙이자 보호본능의 쓸쓸한 발아다. 그러니까, 이제 아물어 가는 모든 슬픔은 더 이상 상처가 아니다. 잊기 시작하는 순간부터 천천히 아물어 가고 어느 날인가는 아무렇지도 않을 하나의 흉터로 남게 되는 것이므로.


Epilogue

그러나 우리는 매번 그렇지 못하다. 무덤덤한 흉터 하나 제대로 만들지 못할 뿐더러, 저리게 돋아나는 너 그대 당신을 잊는 법은 애시당초 배우지 못한 까닭이다. 몸의 안팍에 남아 생을 맴도는 또 하나의 상처다. 마치 내 손바닥에 새겨진 손금같은 흉터처럼.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전체 : 316건
수필 당신이 아니어도 괜찮다 13년전 3,319
수필 영아의 울음 13년전 3,444
수필 눈길을밟으며 13년전 3,168
수필 스치는 것들, 그리고 인연 [1] 13년전 4,272
수필 틀린건 없는지 평가 점 해주세열 13년전 2,891
수필 거울 1-3 세상을 포기하는 그녀 [1] 13년전 5,054
수필 클림트 사전과 형이상학의 추락사회 14년전 4,721
수필 낭만 방어선 14년전 3,926
수필 바다 14년전 4,008
수필 here i am.. 14년전 4,337
수필 부활 15년전 3,912
수필 세구 밭뚝에 감나무 15년전 4,302
수필 달래 재배 15년전 5,360
수필 배나무 15년전 3,398
수필 개복숭아 나무 15년전 5,156
수필 시험기간에 불청객 15년전 4,331
수필 이병훈 한사람의 일상(학교) [2] 15년전 6,413
수필 꿈 [1] 15년전 7,341
수필 故 할머니 전상서 15년전 5,918
수필  상처는 아물지 않는다 15년전 4,035
수필 쇠죽냄새 16년전 4,528
수필 블루 20 (完) [1] 16년전 6,323
수필 블루 19 16년전 4,261
수필 블루 18 16년전 4,341
수필 블루 17 16년전 4,471
수필 블루 16 16년전 4,324
123456789  다음  last
 
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포인트정책    
문.사 태어난 날 : 1999.09.01, 문.사 태어난 후 : 9439日 지남, 문.사 태어난 후 : 26주년
Copyleft (c) 문학과 사람들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