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2년 2월 10일, 여수 남국민학교 졸업식에서의 일이다.
회색 스웨터에 까만 낡은 바지를 입은 중년부인이 노력상을 받게 되었다.
그 부인이 단상에 올라가 상장을 받자 장내는 박수소리로 떠나갈 듯했고
국민학교를 졸업하는 부인의 딸은 울음을 터뜨렸다.
이야기는 그 부인의 딸이 국민학교를 입학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노력상을 받은 어머니와 딸이 살고 있는 섬은 집이 세 채밖에 안되는 외딴 곳이었다.
주민이 겨우 20명 남짓한 이 섬은 육지인 여수에 볼 일이 있을 경우
섬사람들이 직접 만든 배를 타고 갈 수밖에 없었다.
어머니는 딸이 여덟살이 되자 남편에게 딸을 육지에서 공부시키자는 말을 어렵게 꺼냈다.
그러나 그의 남편은 '여자 아이가 공부는 해서 뭐하냐' '만약 공부를 해도
20리나 되는 뱃길을 어떻게 다닐 수가 있겠느냐'며 아이의 교육을 반대했다.
당시 그 섬에는 교육을 받은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
그녀는 섬이 무지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믿음을 굽히지 않고 남편 몰래
딸을 육지의 국민학교에 입학시키고야 말았다.
그로부터 6년, 어머니는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매일 꼭두새벽에 일어나
이십리나 되는 험한 물결을 손수 노를 저어 아이를 학교에 데려다 주었다.
그리고 섬으로 돌아온 그녀는 태연하게 밭일을 하다가 저녁이면
다시 배를 타고 딸을 데려왔다.
처음 얼마 동안은 딸도 울고 그 어머니도 울었다.
딸은 어머니가 자신을 육지에 홀로 남겨두고 떠나는 것이 서러워 울었고
어머니는 딸을 데리러 가는 길이 늦어질 때 딸의 애타는 모습이 애처로와
눈물을 흘리면서 노를 저었다.
어머니의 정성은 너무도 지극했다.
시계도 없는 섬에서 매일 시간을 맞춰 딸을 학교에 보내고 데려오는 일에
한치의 어긋남도 없었다. 그렇게 6년을 하루같이 오간 뱃길이 무려 3만 3천리나 되었다.
이 사실이 전해지자 졸업식장안은 온통 울음바다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