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로딩중...
문학과 사람들
글쓰기 (Alt+w) 글붙여넣기(Ctrl+v) ^^!
오늘의 최근글 , 최근코멘트 RSS
로그인 | 회원가입 | 둘러보기
05월 19 (월) | 배경음악             
  • 문학방
  • |
  • 창작방
  • |
  • 작가방
  • |
  • 커뮤니티
  • |
  • 마이페이지
 낙서장 ·방명록 ·대화방 ·접속자
커버스토리 ·
문.사 살짝 리뉴얼 했습니다. [6]
문.사 살짝 리뉴얼 했습니다. 6
- 커뮤니티 -
두런두런 ^^
좋은글
사랑이란
편지쓰기
토론방
갤러리
웃고살자
여행후기
문.사 수첩
상담/Q&A
재미로 보는 타로점
최신글보기
태그구름
오늘출석부
현재접속자
 
> 커뮤니티 ( 커뮤니티 > 주제토론방 )
·  설문과 함께 토론을 해 보아요 ^^~
[일반] 우리가 기른 장미꽃 (선거에 대하여)

     날짜 : 2002년 06월 16일 (일) 10:55:31 오후     조회 : 3537      
이제 며칠 후면 우리는 우리 자신들을 이끌어 갈 지도자를 선택해야 한다. 한 마디로 비유하면 그들에게 핸들을 맡겨 운전을 하게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필히 안전을 먼저 생각하는 자를, 목적지를 정확히 아는 자를, 달리는 사이 승객의 안락도 염려하는 자를 선택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요즘 선거판을 보면 그런 선택이 가능할지 극히 우려되는 게 사실이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당선만을 목적으로 하는 후보들, 그 틈에서 무언가를 챙기려는 유권자들, '솜방망이'로 상징되는 정부의 무책임한 법집행을 보면 그렇다.
해방 후 온갖 시련을 겪으면서 정부를 수립하고, 수많은 선거를 치르면서 국가체제를 세워 나가던 시절, 우리는 뼈아픈 경고의 소리를 들은 적이 있다고 한다. 바로 '한국의 민주주의는 쓰레기통의 장미꽃'이란 비아냥이다. 서양 사람들이 보기에 너무 심했던 모양이다. 권력을 쥐기 위해 돈을 뿌리고, 비방과 모략을 통해 상대 후보를 곤경에 빠뜨리며 심지어 폭력으로 공포 분위기를 자아내기도 했다. 한편 그에 발맞춘 유권자는 이리저리 패를 지어 다니며 자기 이익을 챙기기 여념이 없었다. 그러기에 장미꽃에 비유된 민주주의가 아무리 화려하게 보여도 그 뿌리가 썩은 후보와 유권자에 비유된 쓰레기통에 꽂혀 있다면 곧 시들고 말 것이란 경고인 것이다.
그런데 아직 우리는 별로 바뀐 게 없다고 한다. 이것은 지나친 비관이 아니라 우리의 현실이다. 연일 뉴스를 타고 전해져 오는 것이고, 실제로 이제는 '총선 연대'라는 시민단체가 코피를 쏟으며 거리 캠페인을 벌여야 할 만큼 위기감이 생기는 것도 사실이기 때문이다.
말로는 '새 천년'을 내세워 모든 분야에서 개혁과 도덕성 회복이 필요하다고들 한다. 그런데 그런 작업을 앞장서 실천에 옮겨야 할 우리의 지도자를 뽑는 일은 가장 근본적인 문제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번에야말로 올바른 선거, 즉 전국민이 만족할 축제 같은 선거를 치러내야 한다.
그러기 위해 우선 '무사안일주의'를 몰아내야겠다. 반세기 동안 부정 선거를 해 왔지만 그래도 위는 아직 망하지 않았다는 생각, 이것이 가장 큰 문제로 보인다. 그런 점에서 지나치게 권력 욕망에 사로잡힌 후보를 경계하는 한편 그에 따라 장단을 맞추는 유권자도 함께 경계해야겠다. 그러자면 다수 유권자가 엄정한 자세로 자기 소신을 지키는 수밖에 없다고 본다.
그리고 선거 후라도 부정한 후보나 유권자에 대해 다시는 그런 형태를 보이지 못하게 다스려야 한다. 대체로 우리 나라 법집행이 무르다는 비판이 있는데, 이번에야말로 본보기를 세워야 할 것이다. 후보에게는 당선 취소 및 몇 회 이상 출마 금지, 부패에 동참한 유권자에게도 사회적 불이익을 주어 민주주의의 본질을 지켜 나가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지구촌, 세계화 시대에 우리 선거를 지켜 볼 국제사회도 생각해 보자. 이제 지켜 볼 국제사회도 생각해 보자. 이제는 경제도 세계의 눈초리에 따라 민감하게 대처해야 하는 세상이라고 한다. 신용을 잃으면 그만큼 손해를 보는 것이다.
더 이상 장미꽃을 시들게 할 순 없다. 온 국민이 한결같이, 과연 내 자리에서 꽃을 피울 수 있을까, 하고 겸허히 살펴 보아야 할 때이다.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06.16
선거뿐만 아니라 여러면에서 의견을 묻고 있군요..국제적인 관점에서 보셨는데 중요한 것은 다른 나라와의 비교가 아니라 우리 실정에 맞는 국민적 잣대로 흘러가야 옳으리라 봅니다..수신제가후에 치국평천하가 오듯이 올바른 실정을 알고 외부의 건을 받아들이고 배척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전체 : 895건
일반 감정에 치우치는 이탈리아(?) [3] 22년전 3,390
일반  우리가 기른 장미꽃 (선거에 대하여) [1] 22년전 3,538
일반 우리들의 프리즘(문화의 상대성에 대하여-우… 22년전 3,078
일반 일본을 욕하는 행위에 관해. [4] 22년전 3,421
언제까지… 일반 또 다른 이름.. [2] 22년전 3,286
일반 월드컵 개최국의 시민의식... [7] 23년전 3,365
일반 다시 거론해보는 채팅언어. [13] 23년전 3,880
일반 시험일 비공개..?! [10] 23년전 3,348
티엘 일반 한국 고등교육까지의 학습량 과연 과중한가? [4] 23년전 3,258
티엘 일반 선생님들의 대우가 불만인가요? [4] 23년전 3,335
일반 자신과 자신의 태아중 누구를 선택할 것인가. [11] 23년전 3,014
티엘 일반 또다시 교육문제가 논점이 되고 있네요.....그… [9] 23년전 3,002
티엘 일반 시 쓰는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세요? [10] 23년전 3,108
일반    [re] 시 쓰는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세요? [1] 23년전 3,445
일반    [re] 시 쓰는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세요? [1] 23년전 2,843
일반    [re] 시 쓰는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세요? 22년전 2,046
일반    [re] 시 쓰는 이유 - 질문은 쉬운데 답 쓰기 너… [4] 23년전 3,220
일반 ㅠㅠ 살이.....살이..... [1] 23년전 2,884
일반 난 그것이 알고싶다. [8] 23년전 3,121
일반 현대사회는........ [7] 23년전 2,904
일반 올고1부터 수능 방식이 바뀔텐데요 어떻게 하… [15] 23년전 2,899
티엘 일반    [re] 이런 저런. 공부에 대한 얘기.^^ [2] 23년전 2,885
일반 어캐하지???????? [3] 23년전 2,938
일반    [re] 어캐하지???????? [2] 23년전 2,967
일반 우리나라의 교육 [4] 23년전 2,956
일반    [re] 우리나라의 교육 [2] 23년전 3,010
first123456789  다음  last
 
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포인트정책    
문.사 태어난 날 : 1999.09.01, 문.사 태어난 후 : 9393日 지남, 문.사 태어난 후 : 26주년
Copyleft (c) 문학과 사람들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