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로딩중...
문학과 사람들
글쓰기 (Alt+w) 글붙여넣기(Ctrl+v) ^^!
오늘의 최근글 , 최근코멘트 RSS
로그인 | 회원가입 | 둘러보기
05월 19 (월) | 배경음악             
  • 문학방
  • |
  • 창작방
  • |
  • 작가방
  • |
  • 커뮤니티
  • |
  • 마이페이지
 낙서장 ·방명록 ·대화방 ·접속자
커버스토리 ·
문.사 살짝 리뉴얼 했습니다. [6]
문.사 살짝 리뉴얼 했습니다. 6
- 커뮤니티 -
두런두런 ^^
좋은글
사랑이란
편지쓰기
토론방
갤러리
웃고살자
여행후기
문.사 수첩
상담/Q&A
재미로 보는 타로점
최신글보기
태그구름
오늘출석부
현재접속자
 
> 커뮤니티 ( 커뮤니티 > 주제토론방 )
·  설문과 함께 토론을 해 보아요 ^^~
[일반] '득헿'에 대해서...;;

     날짜 : 2003년 04월 18일 (금) 11:28:09 오후     조회 : 3737      
언젠가부터
일명 '헿자'라 불리우는 인터넷상의 폐인?
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외계어도 아니요. 한글도 아니요.
무의미한 말들로 서로서로 말을 합니다
물론 그 중의 일부만이 이상한 단어지만요.
뭐 일종의 사회단체?처럼
반전에 대해서도,
연애인 비방도 많이 한다고 합니다
이런 활동이 인터넷상에서 국한된 것이라면 모를까
그런 것이 아니라면
한글에 조금 위험한 행동이 아닌가 싶습니다
뭐 사실 저도 가끔 쓰지만
그게 그른지 아니면 그냥 재미로서 이어가는게 옳을지
여러분들의 의견이 듣고싶습니다
잘못된 것인지 확실히 안 다음에야
뭐든 비판할 수 있는 것이니까요

만일..

내가 가진 꿈들을 내 이름 앞에 행복하게 지울 수 있다면

살아갈 나는 언제나 새롭기 때문에 그 끝이 무엇이든, 이길 것이다

여름의 끝에서. by 가을바람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04.26
간혹 하오체를 쓰시며 여러가지에 대해 비방하시는 분들을 보면 조금은 두려운 마음이 듭니다. 자신과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거나, 자신이 싫어하는 것(혹은 사람)을 좋아하는 사람을 보게 되면.. 그들에게 자신의 생각을 강요하고(방법한다- 라는 말을 쓰더군요), 때론 수준낮은 인간 취급도 하시더라구요.. 인터넷에서 발생한 신종 계급주의는 아닌가.. 걱정이 들기도 합니다. 햏자끼리의 엄청난 단결력을 보면 말예요^^; 그들로 인해 오염되어가는(물론 햏자들만의 잘못이 아닌, 네티즌 전체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한글역시.. 참 안타깝습니다.

04.26
왜- 잘 쓰고 있는 예쁜 글자를 저렇게 이상하게 만드는지 모르겠다. 실수로 그러는 것도 말이야! 저런... 몰상식한 인간들!! 저러면 내가 알아볼수가 없잖아!! -_-; 말세야, 말세-

04.28
너잖아!! ㅡㅅㅡa

04.28
그래 ^^;; 나도 조금은 쓰지;; 거의 안쓰자나 ^^;;

05.10
통일이 된다면... 서로에게 단절된 사회에서 발전해나가는 말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서로더욱 이해하기 힘든말들로 바뀌어가겠죠. 지금 남과 북에 있는 사람들이 대화를 하면 의사소통하는데 약 60%정도 의미전달이된다고 들은기억이나는군요. 불과 5~6십년만에 그렇게 많은격차가벌어지다니... 근데 제 생각에는 지금젊은 사람들과 그보단 나이가 어린이들의 대화는 거의 50%이하의 의미전달이 돼지않을까 하는 생각이듭니다. 우리의 말과 글들은 발전해나가는게 아니라, 오염이 되어가고있는건 아닐지? 현재 초등학생들의 받아쓰기는 거의 평균60점미만의 어려운시험이 되어가고있읍니다. 오히려 영어문법이나 단어시험을 더 잘보지않을까하는생각도 드네요. 전 국문학을 전공하거나 특별히 교육을 받은적은 없지만 이건아니다하는 생각이듭니다. 이쁘고 귀여운 말들이나 단어들도 좋지만 적어도 알고써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어떤단어들이 맞는지정도는여... 결국 성인들이 만들어낸 새로운단어들을 배우고쓰는 아이들을 생각할때 아니 우리민족의 얼이담긴 한글을쓸때 한번씩은 고민하고 생각하는 마음을 가졌으면 하는 아쉬움이 듭니다.

05.10
헿자가 무슨 뜻이라고요 ㅡㅡ;;;;;; 좀처럼 알수가 엄넹.. 일본에게 우리나라가 빼앗겼을때 우리 선조들이 목숨을 걸고 치켰던 한글을 이제는 우리가 우리손으로 더럽히고 있다니.. 정말 한스럽습니다. ㅠㅠ....
증류수
05.19
헿자,득헿 이 아니라 햏자,득햏 이라고 하는 것이오. 그리고 햏자들이 쓰는 말은 방법한다,쎄우다, 외의 몇몇 단어들을 빼고는 맞춤법도 제대로 맞추고 통신체도 쓰지 않는다오.... 제발 어떤 사실에 대해서 들어본것에 대해서 말하지 말고 직접 체험해 보고 와서 말하시오 그리고 햏자들이 하는것은 한글파괴가 아니라 새로운 단어를 창조하는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의미의 확장이라던지 직접 햏자들의 사이트에 가보고 말하시오 http://www.dcinside.com/

05.19
증류수님 말대로 구글에서 이글을 검색해서 찾아봤는데(야후에는 아에 나오지도 않네요) 아무리 읽어보아도 이해가 안되네요.. 진정 이것이 무슨 뜻인지? 그리고 중간에 아햏햏을 가르켜 아무 뜻도 없는거라고 나오던데.. 아무뜻도 없는것을 무엇때문에 표기할려고 하는지? 너무 너무 똑똑해서 남들이 못 알아 듣는것을 말함으로써 즐기려고 하는것인지? 남들이 못 알아 듣는것에 대해 우월감을 느낄려고 하는것인지? 할말 꼴았뿟다 ㅋㅋㅋㅋㅋ

05.20
새로운 단어를 창조한다는 증류수님의 말씀은 많은 사람들에게 긍정적이게 받아들여질 것이라고 생각하시는지요? 국어는 말이죠, 대한민국의 모든 국민들이 함께 공유하는 것이지, 일부가 고치고 새롭게 만들어 쓴다하더라도 새로운 언어가 될수는 없지요. 새로운 단어가 지금도 아슬아슬하게 보존되고 있는 순수한 국어를 파괴한다는 생각은 해보지 않으셨는지요? "새로운 단어를 창조하는 것"은 지금 쓰고 있는 한글이나 제대로 사용하고 바르게 보존한 다음에 "생각해볼 일"이 아닐까요?

06.10
다 괜찮은데 자기들이 뭔가 대단한 사람들인냥 하지않았으면...ㅡ ㅡ

06.14
어느 한 만화에 ,,, 계속해서 글자수가 줄어들고 개성있게 변해., 나중에는 아햏햏 으로 사람들이 대화를 하면서 개만큼 못하는 인간들의 모습을 그린 만화가 있었습니다. 점점.. 이상해 져가는 한글을 보며 참으로 답답할수 밖에 없네요. 저도 요즘 에는 어느게 진정한 한글인지 잘 모를때가 있기도 하구요.

  전체 : 895건
일반 문.사의 순위.. [4] 21년전 3,507
일반 TV는 모두 죽었나? [5] 21년전 3,635
친구 일반 인터넷 예절 [3] 21년전 3,606
일반 호주제폐지법안27일발의 - 옳은가, 그른가 [15] 21년전 3,756
일반    [re] 호주제와 호주제의 문제점... [1] 21년전 3,941
일반 방송가의 자막에 한마디 똥침 [12] 22년전 3,863
일반  '득헿'에 대해서...;; [11] 22년전 3,738
일반 폐인들에 대해서 [6] 22년전 3,695
일반 귀여니의 책. [10] 22년전 3,826
별비치아 일반 레즈비언에 대하여. [9] 22년전 4,145
일반 글에 대하여.. [2] 22년전 3,028
일반 어떤사람은... [5] 22년전 2,956
일반 요즈음 들어 부쩍 늘어난 외계어들.. [10] 22년전 3,273
일반 어떻게 생각하세요? [6] 22년전 2,905
일반 예전부터 품어왔던 의문... [8] 22년전 3,352
일반    [re] 외래어. [1] 22년전 2,979
일반 주제를 하나 던저주고 가지. [4] 22년전 2,914
일반    토론에 참여하기 전에... [3] 22년전 2,922
일반 한마디. [7] 22년전 2,761
일반 문.사 창작방-소설에는 왜 그리 판타지 작가… [17] 22년전 3,040
일반 당신 "글" 좋아하십니까? [4] 22년전 2,861
일반 제 얘기 들어 주실래요? 문사는 왜 조용해졌… [6] 22년전 3,013
일반    [re] 문학과 사람들 [1] 22년전 2,811
일반 문사 작가방 [19] 22년전 3,011
도스토예… 일반 도스토예프스키의 음악론 [2] 22년전 3,045
일반 명품이 과연 좋은걸까요? [10] 22년전 3,376
first123456789  다음  last
 
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포인트정책    
문.사 태어난 날 : 1999.09.01, 문.사 태어난 후 : 9393日 지남, 문.사 태어난 후 : 26주년
Copyleft (c) 문학과 사람들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