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로딩중...
문학과 사람들
글쓰기 (Alt+w) 글붙여넣기(Ctrl+v) ^^!
오늘의 최근글 , 최근코멘트 RSS
로그인 | 회원가입 | 둘러보기
05월 19 (월) | 배경음악             
  • 문학방
  • |
  • 창작방
  • |
  • 작가방
  • |
  • 커뮤니티
  • |
  • 마이페이지
 낙서장 ·방명록 ·대화방 ·접속자
커버스토리 ·
문.사 살짝 리뉴얼 했습니다. [6]
문.사 살짝 리뉴얼 했습니다. 6
- 커뮤니티 -
두런두런 ^^
좋은글
사랑이란
편지쓰기
토론방
갤러리
웃고살자
여행후기
문.사 수첩
상담/Q&A
재미로 보는 타로점
최신글보기
태그구름
오늘출석부
현재접속자
 
> 커뮤니티 ( 커뮤니티 > 주제토론방 )
·  설문과 함께 토론을 해 보아요 ^^~
[일반] [re] 외래어.

     날짜 : 2003년 02월 25일 (화) 1:33:49 오전     조회 : 2979      
맞아맞아. 정말 큰 문제인 것 같아.
왜 좋은 우리말을 두고 외국말을 쓰는 걸까?
사람들 머리 속엔 은연중에 더 나은 서양 나라들, 더 나은 문화 라는 생각이 들어 있는 것 같아.
물론, 서양이 우리보다 경제가 발전했지만, 문화가 더 발달했을까 꼭 종적 차이만 있는게 아니라 횡적 차이도 있는데.


선진국의 산업 발달이 빠르고 그것들이 유입되며 같이 들어오는 문화와 단어들.
점점 선진국들이 걸어간 길로 다른 나라들이 쫓아가게 되는 것 같아.
어쩜,
문화가 점점 커다란 세계 추세를 형성하는 것도 하나의 길만 만들어 가는 것 같아서 걱정이야.


문화란 높고 낮음만 있는 1차원적 개념이 아닐텐데.
노랑이 파랑보다 명도가 높지만, 명도 하나만의 척도로 우열을 가릴 수 있을까?
색상이라는 서로 개별적인, 횡적인 구분도 존재하는데.


단지, 서양 문화가 산업과 경제라는 척도에서 앞섰기 때문에 지금의 세계 지위에 있지 않나 생각해.



크아악....-_-;; 또 주제가 아닌 쪽으로 화제를 넓히고 있다..ㅠ.ㅠ;;



근데 말야.
언어라는 것이 딱 부러지는 것이 아니잖아.
대중의 의식이 반영되었기 때문에.....;;;;

아씨....얘기하려니까 대빵 길것 같네...-.-'
일단 파랑아. 6차 교육과정의 국어 교과서 언어관련 지문을 읽으면 어느정도 생각이 풀릴듯...(귀차니즘)



이런저런 이유들 많지만, 네가 지적한 문제가 쉽게 해결되지 않는데에는.
국가의 정책적 지원 부족과 우리의 무관심 뿐 아니라.
어감이나 사회적 의미라는 점이 클 것 같아.

뉘앙스와 어감.
알몸, 나체, 누드.
휴대전화, 핸드폰


이게 전부 같은 단어 일까?
지금 예로 든 것은 뜻은 거의 같지만. 느껴지는 게 틀리잖아.
이 부분도 토론할 게 많겠지만, 건너뛰고..-_-;;;;(게으른 녀석)


HAVE를 우리 나라 말로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가지다?
그것 뿐 아니라 여러가지 의미와 쓰임이 있잖아.
그렇기에 HAVE는 우리나라 말에는 없는 의미를 가지는 거야.

단지 우리가 HAVE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는 단위로 조각내어 쓰고 있는 것.
실용적인 분야라면 단어를 새로 만들면서 쉽게 국어 순화를 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문학이나 철학은.
내포한 뜻이나 중의적 표현, 개념이 중요하기 때문에 번역이 매우 어렵지.

'내 아를 낳아도.' 가 꼭
내 아기를 낳아달란 뜻 외에 사랑한다는 뜻을 포함한 것처럼.....


p.s)크아악...-_-;;
역시 이번에도 정리 안되고, 심도 깊지 않은 겉핡기식 얘기.
게다가 이번엔 경어를 쓰지도 않았다....ㅡㅡ''

p.s2)p.s도 추신으로 바꿔 써야했나..-_-;;;; 사실은 플레이스테이션2의 줄임말....유치..;;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02.25
하하, 그래도 토론이란게 이뤄지니 좋네요 뭘^^ 맞는 말이에요. 전반적인 정서가 이렇게 된 이유도 그렇고... 하지만 저는 그런것 외에도...기본적으로 우리말로써 예술을 하시는 분들이나 지식인들이 우리 말로 표현해도 좋을(티엘형이 말한 어감과 의식의 차이가 그리 크지는 않은)단어들마저 영어로 써서 외려 뭔가 망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전체 : 895건
일반 문.사의 순위.. [4] 21년전 3,507
일반 TV는 모두 죽었나? [5] 21년전 3,635
친구 일반 인터넷 예절 [3] 21년전 3,606
일반 호주제폐지법안27일발의 - 옳은가, 그른가 [15] 21년전 3,756
일반    [re] 호주제와 호주제의 문제점... [1] 21년전 3,942
일반 방송가의 자막에 한마디 똥침 [12] 22년전 3,863
일반 '득헿'에 대해서...;; [11] 22년전 3,738
일반 폐인들에 대해서 [6] 22년전 3,695
일반 귀여니의 책. [10] 22년전 3,826
별비치아 일반 레즈비언에 대하여. [9] 22년전 4,145
일반 글에 대하여.. [2] 22년전 3,028
일반 어떤사람은... [5] 22년전 2,957
일반 요즈음 들어 부쩍 늘어난 외계어들.. [10] 22년전 3,273
일반 어떻게 생각하세요? [6] 22년전 2,905
일반 예전부터 품어왔던 의문... [8] 22년전 3,352
일반      [re] 외래어. [1] 22년전 2,980
일반 주제를 하나 던저주고 가지. [4] 22년전 2,914
일반    토론에 참여하기 전에... [3] 22년전 2,922
일반 한마디. [7] 22년전 2,761
일반 문.사 창작방-소설에는 왜 그리 판타지 작가… [17] 22년전 3,040
일반 당신 "글" 좋아하십니까? [4] 22년전 2,861
일반 제 얘기 들어 주실래요? 문사는 왜 조용해졌… [6] 22년전 3,013
일반    [re] 문학과 사람들 [1] 22년전 2,811
일반 문사 작가방 [19] 22년전 3,011
도스토예… 일반 도스토예프스키의 음악론 [2] 22년전 3,045
일반 명품이 과연 좋은걸까요? [10] 22년전 3,376
first123456789  다음  last
 
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포인트정책    
문.사 태어난 날 : 1999.09.01, 문.사 태어난 후 : 9393日 지남, 문.사 태어난 후 : 26주년
Copyleft (c) 문학과 사람들 All Right Reserved.